우크라 침공 위기에 나토군 ‘동진’… '서진'하는 러시아군과 충돌하나

입력
2022.02.23 18:59
2면
미군ㆍ나토군, 발트 3국 등 군사 재배치 
우크라 국경 19만 명 늘어난 러시아군 충돌 우려 
러시아군 ‘서진’, ‘남하’, ‘북진’ 시나리오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위기 고조에 미군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ㆍ나토)군이 ‘동진(東進)’하고 있다. 러시아가 나토 동진에 반발하며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 군을 투입하기로 했으나, 되레 나토군과 물리적 거리가 가까워진 아이로니컬한 상황이 펼쳐지고 있는 셈이다. 러시아군의 서진에 발트 3국(에스토니아ㆍ라트비아ㆍ리투아니아)도 불안감이 커지는 등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군사적 대치 상황이 극으로 치닫고 있다.

22일(현지시간) 미국 CNN방송 등 외신에 따르면 미 국방부는 F-35 전투기 8대, 아파치 헬기 32대와 함께 보병을 발트 3국과 폴란드에 배치한다고 이날 밝혔다. 발트 3국은 동쪽으로는 러시아와, 남쪽으로는 러시아의 동맹국인 벨라루스와 인접해 있다. 폴란드도 동쪽에 벨라루스,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앞서 미 국방부가 82공수사단 병력 3,000명을 동유럽에 추가 배치한다고 밝혔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규모의 병력이 이날 폴란드, 발트 3국으로 향하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2일 앞서 폴란드에 배치된 병력 1,700명을 더하면 미국은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폴란드에만 병력 9,000명을 배치하게 된다. 독일 주둔 미군 1,000명도 우크라이나 동남부 접경 국가인 루마니아로 전환 배치, 병력을 2,000명으로 끌어올렸다. 독일, 헝가리 등 우크라이나 주변국 주둔 병력까지 합하면 1만 명이 훌쩍 넘는 미군이 러시아군의 서진에 맞서고 있다. 독일도 나토 동부전선을 지원하기 위해 병력 350명을 리투아니아에 추가로 파병, 발트 3국 나토군 규모는 4,000명으로 불어났다. 현재까지는 우크라이나 인접 나토 회원국에 대규모 병력을 주둔시켜 러시아를 압박하는 모습이다.

러시아군의 움직임에 따라 충돌 가능성은 커질 전망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1일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 러시아 ‘평화유지군’ 진입을 명령한 상황에서 러시아군 군화가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는 것은 초읽기에 들어갔다. 핵심은 우크라이나 전반에 대한 침공 여부다. 푸틴 대통령이 “역사적으로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일부”라고 밝힌 만큼 전체 영토를 삼킬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우크라이나 국경 서쪽을 제외한 3면에 19만 병력을 배치시킨 것도 동부 도네츠크, 루한스크 지역만 한정하지 않았다고 보는 이유다.

실제 영국 BBC는 이날 구체적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예상하며 침공루트 세 가지를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동ㆍ남부에서 돈바스 지역을 점령하며 수도 키예프 등으로 서진(西進)하는 루트가 우선 꼽힌다. 합동훈련까지 연장하면서 대규모 병력을 남겨둔 벨라루스와 북동부 접경지역에서 밀고 내려와 수도 키예프로 진격 남하(南下)하는 것도 예상된다. 아울러 남부 크림반도에서 키예프와 동부 돈바스로 북진(北進)하는 루트도 가능한 공격루트다.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해도 미군ㆍ나토군이 우크라이나에 진입, 무력 충돌로 연결될지는 미지수다. 아직까지 미국과 서방은 경제 제재만 실행하는 상황이다. 우크라이나가 나토 회원국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방국에 무기를 공급하고는 있지만 주둔군을 들여보내지 않는 이유다. 다만 우크라이나 정부가 27년 전 핵포기 당시 미국이 그 대가로 안전보장을 약속한 만큼 이를 지키라고 요구하고 있는 점은 변수다. 이른바 ‘부다페스트 각서’다. 이날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미국은 당시 약속했던 안전 보장을 이행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러시아군이 동부 지역을 넘어 우크라이나 전체에 대한 공습을 감행할 경우 미군이 ‘부다페스트 각서’를 명분으로 진입할 가능성도 있는 셈이다.

김청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