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치료 사망자 속출...응급상황 대응 제대로 돼 있나

입력
2022.02.22 04:30
27면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으로 재택치료 환자가 폭증하고 있지만 당국의 부실한 대응으로 사망하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재택치료자들의 불안감을 적기에 해소시켜줄 수 있는 상담서비스 확충은 물론 급작스레 상태가 악화했을 때 입원을 연계해줄 수 있는 시스템 보완이 시급하다.

지난 18일 확진 판정을 받은 서울 관악구에 거주하는 50대 남성은 혼자 집에서 지내다 다음 날 오전 숨진 채 발견됐다. 확진 판정 이후 보건소 관계자가 네 차례나 연락을 했지만 통화가 안 됐다고 한다. 이 경우 보건소에서 직접 방문해 상태를 살펴야 했지만 이 절차가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같은 날 경기 수원시에서 재택치료 중이던 생후 7개월 된 남아는 갑자기 고열이 발생해 응급실을 찾다, 결국 17㎞ 떨어진 병원으로 후송했으나 목숨을 구하지 못했다. 재택치료 환자의 상담, 응급상황 시 의료기관 연계가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증거다.

오미크론이 대부분 경증이라 해도 특히 온전히 ‘셀프치료’를 해야 하는 일반관리군의 경우 갑자기 상태가 나빠졌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혼란스럽다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심지어 지난주 확진돼 재택치료를 한 보건복지부 차관조차 “심평원의 병원 명단을 보고 약 처방을 받기 위해 전화했는데 두 군데 정도 연락이 안 돼 다른 쪽에서 처방받았다”고 실토했을 정도다. 이 정도면 양호하다. 보건소는 말할 것도 없고 비대면 상담을 해주는 병원들과 통화하려면 몇 시간씩 걸리는 일도 다반사라고 한다.

21일 누적 확진자가 200만 명을 넘어선 데 이어 재택치료자도 50만 명 안팎으로 증가했다. 기존 변이보다 독성이 약하다고 해도 오미크론의 치명률은 독감의 2배다. 특히 스스로 전화 상담을 해야 하는 일반관리군에 속하는 재택치료 환자들은 응급사태 발생 시 사각지대에 방치될 가능성이 높다. 보건당국은 재택치료자들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불안감을 덜어주고, 재택치료를 담당할 의료기관의 참여를 독려하는 등 허점을 보완하기 바란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