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국경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는 인도가 중국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 54개를 추가로 금지했다. 개인정보 침해와 국가 안보 위협을 금지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국경 분쟁 등으로 심화한 갈등에 따른 보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인도 내무부가 국가 안보 위협을 이유로 전자정보기술부에 중국 앱 54개 금지를 요청했다고 14일(현지시간) 인도 일간 타임스오브인디아(TOI)가 보도했다. 금지 대상 앱은 '뷰티 셀피 카메라' '비바 비디오 에디터' '스위트 셀피 HD' 등이다. TOI는 "해당 앱 대부분이 중국 대기업인 텐센트와 알리바바, 게임 업체 넷이즈 소유"라며 지난 2020년 이미 금지된 중국 앱 267개와 유사하거나 복제된 프로그램이라고 밝혔다.
전자정보기술부는 "해당 앱이 사용자들의 민감한 정보를 수집한 것으로 보인다"며 "실시간으로 수집된 정보는 오용됐고 적대 국가의 서버로 전송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정보들이 인도 안보를 위협하는 행위에 이용되거나, 인도의 주권과 통합에 적대적인 주체에 의해 축적될 위험이 있다"고 금지 이유를 밝혔다.
인도 당국의 이번 조치는 사실상 중국과의 국경 분쟁에 따른 보복이 아니냐는 것이 대체적인 관측이다. 인도와 중국은 국경선을 확정하는 대신 '실질통제선(Line of Actual Control·LAC)'을 두고 잦은 무력 충돌을 벌이고 있다. 지난 2020년 5월엔 판공호수 인근 국경에서 난투극이 벌어졌고, 같은 해 6월엔 갈완계곡에서 양국 부대가 충돌해 인도군 20명과 중국군 4명이 숨졌다. 9월엔 히말라야 국경에서 총격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후 갈완 계곡 사태 때 중국 측 국경 방어 부대의 연대장을 맡았던 치파바오 인민해방군 장교가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성황 봉송 주자로 나선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인도 정부는 지난 3일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하기도 했다.
한편 미국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인 지난 2020년 개인 정보 침해 및 국가 안보 위협을 이유로 중국 앱 틱톡과 위챗을 금지한 바 있다. 이듬해인 2021년 6월, 조 바이든 행정부는 앱 사용 금지가 '사실상 정략적 의도에 따른 졸속 조치'라고 판단하고 행정명령을 취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