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패션테크’ 시장 선점을 위해 패션과 정보기술(IT), 문화가 결합된 ‘메타패션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이를 통해 현재 정체 상태인 국내 섬유패션 산업의 미래 경쟁력 확보를 지원하고 일자리 창출 효과까지 거둔다는 전략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서울 강남구 섬유센터에서 문승욱 장관 주재로 섬유패션, 정보기술(IT) 업계 및 연예기획사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섬유패션의 디지털 전환 전략'을 발표했다.
국내 섬유패션은 일자리 창출의 핵심 산업이지만, 원가경쟁력 확보를 위한 해외이전 증가로 인해 생산기반이 약화된 상태다. 이런 가운데 글로벌 시장은 디지털화에 따라 패션테크 분야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패션테크는 섬유패션과 IT를 결합한 산업으로 스마트 의류, 개인 맞춤형 의류, 가상 의류 등을 포괄한다.
산업부에 따르면 스마트 의류 시장은 2019년 16억4,000만 달러에서 2024년 52억8,000만 달러로, 개인 맞춤형 의류 시장은 2020년 18억8,000만 달러에서 2026년 108억 달러 규모로 대폭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바타가 핵심 요소인 메타버스의 등장으로 가상 의류 시장 전망도 밝다.
이에 정부는 △글로벌 패션테크 시장 선점 △제조 현장의 지능화 및 자동화 △디지털 기반의 산업 생태계 조성 등 섬유패션의 3대 디지털 전환 전략을 추진하기로 했다. 상반기 중 패션, IT 등 전문가로 구성된 사업기획단을 구성해 패션과 IT, 문화가 공존하는 세계적 수준의 메타패션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등 다양한 시범 사업이 추진된다.
문 장관은 "패션테크는 섬유패션 산업의 숙원인 글로벌 브랜드 창출과 청년이 선호하는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분야"라며 "작년 12월 제정된 산업디지털전환촉진법을 토대로 우리 기업들의 패션테크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회장을 맡고 있는 이상운 효성 부회장은 행사에서 “세계적 수준의 메타패션 클러스터 조성과 디지털 추지 전략 달성을 위한 주요 과제가 제대로 이행되도록 관련 업계를 이해시키고 참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