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님, 결제하신 거 맞나요? 결제 정보가 없어요.”
서울시가 지역공공화폐 ‘서울사랑상품권(서울상품권)’ 운영사업자를 변경한 후폭풍이 심상치 않다. 서울상품권 결제 시 가맹점에서 결제 여부가 확인이 안 돼 시민과 소상공인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대해 시는 책임을 제로페이 위탁운영사인 한국간편결제진흥원(한결원) 탓으로 돌리고 있다. 하지만 시가 제로페이 대신 서울페이를 띄우기 위해 무리하게 일을 추진하면서 발생한 문제라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26일 서울시와 한결원에 따르면, 지난 24일부터 판매된 서울상품권은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실시간으로 결제유무를 파악할 수 없다. 기존에는 제로페이로 서울상품권을 사용하면 한결원에서 실시간으로 확인 후, 가맹점에 결제정보를 알려줬다. 하지만 올해 운영사가 ‘신한·카카오 컨소시엄’으로 바뀌면서 한결원은 신규 발급한 서울상품권 결제 정보를 공유받지 못했고, 가맹점에 실시간으로 결제 유무를 확인해주는 것도 불가능해진 것이다.
이로 인한 불편은 시민과 제로페이 가맹점이 고스란히 받고 있다. 이날 소상공인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손님이 결제를 했지만 확인이 안 된다’, ‘서울상품권 결제 금액 입금은 어디로 되는 거냐’, ‘서울페이와 제로페이가 연동되는 것은 맞냐’ 등 서울상품권 관련 문의가 쏟아졌다.
현장에서 들리는 불편은 더욱 심했다. 서울 중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신모(54)씨는 “손님이 점심식사 후 서울상품권으로 계산했는데, 가맹점 애플리케이션(앱)에서는 결제 유무가 나타나지 않아 손님과 몇 분간 입씨름을 했다”며 “결국 기존 결제를 취소하고 카드로 다시 결제했는데, 이런 일이 반복될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는 문제의 원인을 한결원에 떠넘겼다. 제로페이 인프라 구축에 막대한 시 예산과 인력이 투입된 만큼, 한결원이 서울상품권 결제가 가능한 28만 가맹점의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한결원은 시의 업무를 대행해서 한 것이기 때문에, 관련 정보에 대한 소유권은 서울시에 있다”며 “QR코드 정보가 있어야 서울페이도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향후 서울상품권 운영사가 바뀌더라도 지금과 같은 혼란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논란이 일자 핀테크 업계에선 이와 같은 상황이 예견된 일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시가 자체 개발한 ‘서울페이플러스(서울페이)’ 활성화를 급히 추진하면서 시민과 가맹점에서 예상되는 불편에 소홀히 했다는 것이다. 서울페이는 서울상품권의 주요 결제 플랫폼이지만, 전용 인프라가 구축돼 있지 않다. 시는 현재 서울페이 전용 QR코드를 만들고 있지만, 당분간 제로페이의 망을 이용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런 이유로 기존 제로페이 가맹점도 그대로 서울페이 가맹점으로 편입했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한결원은 시에 결제정보 공유를 요청했다. 서울페이가 제로페이 QR코드를 이용하는 동안 가맹점과 시민의 불편을 최소화하자는 것이다. 윤완수 한결원 이사장은 “서울페이가 자체 인프라 구축 전까지 서울상품권 결제 정보를 공유해주면, 가맹점에 실시간으로 확인해 줄 수 있다”며 “QR코드, 운영정보 등에 대한 소유권을 두고 다투기보다 당장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