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수입기업 10곳 중 9곳은 지난해 시작된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이 올해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런 전망에도 구체적으로 대책을 세운 기업은 10%가 채 못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원자재, 부품 등을 해외에서 조달하는 기업 300개를 대상으로 최근 실시한 '공급망 불안에 대한 기업실태 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 기업의 88.4%가 '지난해의 공급망 불안이 계속되거나 더 악화될 것'이라고 답한 데 비해 완화될 것이라는 응답은 11.6%에 그쳤다.
글로벌 공급망 불안이 지속 또는 악화될 것으로 보는 가장 큰 이유는 '코로나19 지속'(57.0%)이었다. 지난 2년간 코로나19로 해외 공장들이 가동을 멈춰 글로벌 공급망이 제 기능을 못했는데 올해도 오미크론 변이가 기승을 부려 기업들이 불안감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에 이어 '미국·중국 간 패권 경쟁'을 이유로 든 기업(23.3%)도 적지 않았다. 우리나라 교역의 40% 정도가 집중돼 있는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심화될 수 있다는 국제 정세를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확대'(12.4%)도 올해 공급망 불안을 증폭시킬 요소로 지목됐다. 코로나19로 억제됐던 소비 욕구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분출되면서 원자재 쟁탈전과 물류난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대다수 기업들은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대책을 세웠는지 묻는 질문에 '대책을 세웠다'고 답한 기업은 9.4%에 불과했다. '대책 없다'는 기업은 조사 대상의 절반이 넘는 53.0%, '검토 중'은 36.1%였다. 대책을 세웠거나 검토 중인 기업은 구체적인 대책을 묻는 질문에 '수급 다변화'(45.7%), '재고 확대’(23.9%), '국내 조달 확대'(12.0%) 등의 답변을 내놨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기업이 원자재나 부품을 해외에서 조달하는 것은 국내에서 조달이 어렵거나 생산비용이 높기 때문”이라며 "그런 이유로 수입처 다변화 등 근본적인 해법 마련이 쉽지 않은 게 현실"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