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100년 만에 돌려받은 주한미군 부지에 최고 등급을 적용해 환경오염 정화에 나선다.
26일 대구시에 따르면 캠프워커 부지 전체 사업구역 6만 6,884㎡를 토양환경보전법상 주거지역 등이 포함되는 '1지역' 기준을 적용해 철저히 정화한다. 1지역은 토양환경보전법상 토양오염 우려 기준 3개 등급 중 최고 수준이다.
캠프워커 반환 부지는 1921년 일제강점기에 일본군 경비행장이 처음 조성된 이후 국군비행장과 미군 활주로 등 군사 시설로 활용됐다. 100년 만에 돌려받은 부지는 총 6만6,884㎡(2만232평) 규모로 전체의 10% 정도다.
대구시는 이곳에 총 사업비 970억 원을 투입해 2024년까지 도서관과 평화공원 등을 건설할 계획이다. ‘대구 대표 도서관’은 지하 1층, 지상 4층으로 짓는다. 대구 평화공원은 5만8,000여㎡(1만7,560평) 규모로 조성한다. 동쪽 활주로 부지에는 대구시 3차 순환도로를 착공한다.
토양환경보전법상 대구 대표 도서관과 평화공원은 1지역 기준이 적용되고, 3차 순환도로 예정지는 3지역에 해당한다. 당초 환경오염 정화사업을 주관하는 국방부는 현행법 기준대로 정화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하지만 대구시와 캠프워커 토양정화 자문위원회 전문가들은 시민 눈높이에 맞는 수준으로 정화를 요구했다. 특히 3차 순환도로는 비록 도로지만 주변에 주택가와 공원이 있어 수준을 높이는 것이 타당하다는 입장을 냈다.
국방부는 경제성 검토 등을 거쳐 대구시와 전문가 의견을 수용해 최종적으로 사업구역 전체에 1지역 기준을 적용했다. 현재 이 일대는 환경오염 정화사업을 위탁받은 한국환경공단이 기존 구조물 철거 작업을 진행 중이다.
대구시는 상향 적용하는 정화 기준대로 순조롭게 작업이 진행되면 2023년 1월쯤 결과를 최종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충한 대구시 미래공간개발본부장은 "안전에 대한 가치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대에 오염이 남아 있는 상태로 부지를 돌려받는 것은 시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며 "정부도 대구시와 전문가 의견을 전향적으로 수용해 반환 미군기지 환경오염정화사업에 모범사례를 도출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