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민정수석 잔혹사'... '내 사람' 썼다 줄줄이 곤경

입력
2021.12.21 21:00
현 정부 민정수석 대다수 불명예 퇴진

'아들의 입사지원서' 논란에 따른 김진국 청와대 민정수석의 자진 사퇴로 청와대는 침통한 분위기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공정' '부동산' 논란에 휘말려 불명예스럽게 사임한 전임자들의 경로를 반복한 셈이기 때문이다. 현 정부 민정수석들이 임명 이전부터 문재인 대통령과 각별한 친분이 있었다는 점에서 임명권자인 문 대통령도 인사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문 대통령이 21일 김 수석의 사의를 즉각 수용하면서 김 수석은 9개월 만에 청와대를 떠나게 됐다. 김 수석의 아들은 여러 기업에 제출한 입사지원서에 "아버지가 민정수석" "아버지께 잘 말해 기업의 꿈을 이뤄 드리겠다" 등의 내용을 기재한 사실이 드러나 '셀프 아빠 찬스' 논란이 제기됐다. 내년 3월 대선을 앞두고 청년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공정'이라는 이슈가 불거질 조짐을 보이자 청와대가 서둘러 수습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로써 현 정부 청와대 민정수석 5명은 모두 불명예스럽게 청와대를 떠난 셈이 됐다. 초대 민정수석인 조국 전 수석은 2년 2개월간 재임하는 동안 인사 검증에 대한 책임론이 제기돼 왔다. 그러다 법치 중립성 우려에도 불구하고 법무부 장관으로 직행하면서 정국의 뇌관으로 떠올랐다.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자녀의 대학입시 특혜 의혹, 사모펀드 투자 의혹 등이 불거졌고, '윤석열 검찰'이 조 전 수석 가족에 대한 수사에 돌입하면서 장관 임명 35일 만에 사퇴했다.

2대 민정수석인 김조원 전 수석은 청와대의 권고에도 2주택을 유지하며 구설에 오른 끝에 1년여 만에 교체됐다. 당시 청와대는 집값 폭등에 따른 부동산 민심 이반으로 '고위공직자 다주택 매각' 권고를 통해 여론 반전에 나선 차였다. 그러나 청와대 참모마저 정부 방침을 거부하면서 '직(職)보다 집을 택했다'는 비아냥을 들어야 했다.

3대 민정수석인 김종호 전 수석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갈등을 제대로 조율하지 못한 책임을 지고 4개월 만에 자리에서 떠났다. 문 대통령은 '비검찰 출신' 관행에서 벗어나 검찰 출신 신현수 전 수석을 4대 민정수석으로 임명해 청와대와 검찰 간 갈등의 봉합을 모색했다. 하지만 신 전 수석도 청와대와 검찰 간 힘겨루기 속에 2개월 만에 사퇴했다. 지난 2월 박범계 법무부 장관과 검찰 고위 간부 인사를 두고 마찰을 빚다가 '신현수 패싱' 논란이 불거지면서다.

이들은 임명 이전부터 문 대통령과 친분을 쌓아 온 인사들이다. 김조원, 김진국, 신현수 전 수석은 노무현 정부 시절 민정수석이었던 문 대통령과 함께 일했다. 김종호 전 수석은 민정수석 발탁 이전 청와대에서 공직기강비서관으로 일했다. 조 전 수석 역시 문 대통령이 더불어민주당 대표 시절 당 혁신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인연을 쌓아 왔다. 결과적으로 민정수석에 '내 사람'을 쓰고도 문 대통령이 곤경에 처했다는 얘기다.

야당은 "회전문 인사가 빚어낸 참극"이라고 날을 세웠다. 김병민 국민의힘 선대위 대변인은 "문재인 정부 민정수석은 누구 하나 국민의 상식에 부합한 공직자의 모습은 없었다"며 "내 사람이 먼저라는 대통령의 인사철학이 민정수석의 문제를 통해 고스란히 드러났다"고 꼬집었다.

정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