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지난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 평균 자산 보유액이 5억 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년 전과 비교해 10% 이상 급증한 수치로 역대 최대 수준이기도 하다. 지니계수를 비롯한 소득분배지표도 지난해 일제히 개선됐다. 정부가 코로나19에 대응해 지급한 재난지원금이 저소득층 소득을 떠받친 결과다.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은 16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3월 말 기준 가구당 평균 자산은 1년 전보다 12.8%(5,711만 원) 늘어난 5억253만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가 시행된 이래 가장 높다. 증가폭도 직전 최대인 2018년(8.7%)과 비교해서 4.1%포인트 더 커졌다.
부동산과 거주 주택 등 실물자산이 전체 자산을 늘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실문자산은 전체 자산의 77.5%를 차지했는데, 증가율은 14.4%로 금융자산 증가율(7.8%)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았다. 특히 거주주택의 자산 가치는 1억8,945만 원에서 2억2,876만 원으로 20.7%(3,931만 원)나 늘었다.
금융자산 중에서도 전월세 보증금이 12.1%나 증가해 저축액 증가율(6.1%)을 크게 앞질렀다. 가구의 자산 증가는 부동산 상승과 전세가 상승의 영향이 제일 컸던 셈이다.
이는 유주택과 무주택 가구의 자산 증가율만 살펴봐도 잘 드러난다. 자가 가구의 평균 자산은 6억6,162만 원으로 전년 대비 14.1% 늘었지만 전세 가구는 4억6,401만 원으로 6.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월세 등 기타 입주형태 가구의 자산은 10.4% 늘어난 1억3,983만 원으로 집계됐다.
부채도 늘긴 했으나 그 증가폭은 6.6%로 자산 증가폭의 절반에 그쳤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1,152만 원으로 전년 대비 14.2%(5,165만 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소득분배지표는 1년 전보다 개선됐다. 실제 소득을 기준으로 한 분배지표는 악화됐지만 재난지원금 등 코로나19에 대응한 공적 지원금이 분배 개선에 영향을 미쳤다.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0.339에서 0.331로 0.008 낮아졌다. 지니계수는 0~1 사이의 수치로 표현되는데, 0이면 ‘완전평등’ 1이면 ‘완전불평등’을 의미한다. 지니계수는 2016년(0.355) 이후 4년 연속 개선세다.
다만 시장소득 기준 지니계수는 0.405로 2019년(0.404)보다 다소 높아진다. 시장에서 심해진 불평등을 정부의 공적이전소득이 완화시킨 것이다. 실제 지난해 가구 평균 소득은 전년 대비 201만 원 늘어났는데, 이 중 145만 원이 공적이전소득이었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시장소득은 687만 원에서 706만 원으로 3.7% 늘었는데, 재난지원금 등을 다 더한 처분가능소득은 1,072만 원에서 1,179만 원으로 10.0% 늘었다. 같은 기간 5분위(소득 상위 20%) 시장소득은 2.0%, 처분가능소득은 2.8% 늘어났다. 처분가능소득 5분위배율(5분위 소득을 1분위 소득으로 나눈 값)이 2019년 6.25배에서 2020년 5.85배로 개선된 이유다.
중위소득 50%(2020년 기준 1,499만 원) 이하 인구 비율을 뜻하는 상대적 빈곤율은 15.3%로 2019년(16.3%)보다 1.0%포인트 낮아졌다. 은퇴연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은 2019년 43.2%에서 2020년 40.4%로 낮아졌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코로나 위기에도 소득분배지표의 4년 연속 개선세가 이어졌다”며 “정부의 고용·사회안전망 강화, 돌봄체계 확충 등에 따른 정책효과가 개선세를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