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주부터는 입장 자체가 불가하니까,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 증명서나 PCR 음성 확인서를 받아 오셔야 해요."
방역패스 적용 대상을 식당·카페 등으로 확대하는 4주간의 특별방역대책이 처음 시행된 6일 점심시간, 서울 주요 식당가에선 손님들이 길게 줄을 선 가게들이 적지 않았다.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 전환 한 달 만에, 이전보다 더 번거로운 인증 절차를 거쳐야 식당 출입이 가능해진 탓이다. 입장 대기 시간이 길어진 고객이나, 손님의 방역패스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가게나 불편함을 호소하긴 마찬가지였다. 특히 자영업자들은 방역관리 책임을 사실상 떠안게 됐다고 반발했다.
식당, 카페, 영화관, 독서실 등 방역패스 적용 대상에 새로 포함된 업소들은 이날 이용객에게 접종 여부 확인 절차를 안내하느라 분주했다. 사적모임 허용 인원이 수도권 6명, 비수도권 8명으로 줄었지만, 일행 중 미접종자 허용 인원이 1명으로 축소되면서 고객 한 명마다 백신 접종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탓이다.
안심콜 안내문을 제거하고 QR코드 스캐너를 다시 꺼낸 가게들도 눈에 띄었다. 안심콜은 출입자의 접종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특별방역대책 기간엔 사실상 무용지물이 된 상황이다. QR코드가 그나마 출입 인증에 용이하지만, 이 또한 사용자가 전자예방접종증명서 발급 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코드에 접종 관련 정보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업주가 별도 확인 절차를 밟아야 하는 실정이다. 한 식당 운영자는 "계도 기간이 끝나는 이달 13일부터는 방역패스를 확인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되기 때문에 단골이라도 봐줄 수가 없다"고 말했다. 다만 영화관, 박물관, PC방 등은 여전히 위드 코로나에도 고객이 크게 늘지 않아 혼선이 적은 분위기였다.
모바일 기기 이용에 불편함을 느끼는 장·노년층을 주고객으로 하는 가게들은 안심콜이나 수기 명부 방식이 아니라면 영업이 쉽지 않다고 하소연했다. 손님들도 비슷한 반응을 보였다. 서울 관악구 봉천동의 식당에서 만난 김재철(59)씨는 "QR코드는 어려워서 잘 안 썼는데,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위드 코로나 조치를 시행하자마자 확진자 폭증과 오미크론 변이 발생이 겹치면서 방역대책이 오락가락하는 데 대한 불만을 드러내는 자영업자들도 적지 않았다.
자영업자들은 방역패스 운용에 따른 부담이 클 거라고 토로했다. 접종 확인으로 인력이 부족해질뿐더러 손님들과 갈등을 빚을 소지도 다분하다는 것이다.
서울 마포구에서 한식집을 운영하는 40대 A씨는 이날 QR코드 인증을 하지 않는 손님에게 접종확인서를 요구하지 못했다. 그는 "어떤 손님은 (접종 여부를) 물어보면 '코로나 환자 취급하는 거냐'며 화를 내 물어보기가 조심스럽다"고 했다. 관악구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오샛별(31)씨도 "어르신들이 QR코드 인증 없이 '백신을 맞았다'고 주장할 경우 현실적으로 '나가 달라'고 할 수 없으니 손님 말을 믿는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결혼식장, 대형마트 등에는 방역패스가 적용되지 않는 점을 지적하며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는 자영업자들도 많다. 노원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윤모(51)씨는 "내가 음식을 만들고 남편이 서빙을 하는데 둘이서 접종 여부까지 확인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정작 인력도 많고 100명 이상이 한꺼번에 모여 밥을 먹는 결혼식장은 규제를 피한 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자영업자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정부가 자영업자의 현실에 대한 고려 없이 대책을 강행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자영업자들은) 방역패스를 관리할 인력을 고용할 수도 없고 미접종자 구분 시스템조차 구축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정부가 무책임하게 방역패스를 선택적으로 확대 적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방역패스로 피해를 입는 모든 이들과 연대해 정부에 맞설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