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상수도 유수율 제고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효과는 미미하다. 해당 사업이 지지부진한 이유인 상수도관 노후화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도는 교체해야 할 상수도관이 전체의 27%에 달하고, 예상 비용도 3,600억 원에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제주도는 환경부가 수립 중인 ‘2차 지방 노후관로 정비사업 기본계획’에 제주도 정비 사업을 반영해달라고 요청했다고 1일 밝혔다. 도는 급수관로를 제외한 4,834㎞에 이르는 도수·송수 목적 등의 관로 중 1,315㎞가 노후화 해 교체해야 할 것으로 판단했다. 도수관로는 취수원에서 정수시설까지 연결된 관로, 송수관로는 정수시설에서 배수지까지 연결된 관로를 말한다.
도는 5년 동안 노후관로를 교체하는 데 3,60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제주지역 상수도 유수율이 높지 않은 것은 노후된 상수도관에서 여러가지 누수 현상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시급히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제주도감사위원회는 도 상하수도본부가 최근 6년간 1,400억 원을 들여 상수도 유수율(정수장이 공급하는 수돗물이 각 가정에 도달하는 비율) 제고 사업을 벌였지만 효과가 목표치의 10분의1 수준에 그치는 등 효과가 미미했다는 감사 결과를 최근 공개했다.
감사 결과를 보면 도는 2016년부터 2021년까지 1,402억 원을 들여 상수도 유수율 개선 사업을 추진했다. 하지만 유수율은 2016년 44.5%에서 지난해 48.9%로 4년간 고작 4.4%포인트 오르는데 그쳤다. 여전히 수돗물 절반은 땅속으로 줄줄 새고 있는 셈이다. 상하수도본부는 당초 상수도 유수율 사업을 통해 2020년까지 유수율을 73%로 높일 계회이었다.
제주지역의 유수율은 전국 최저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환경부의 상수도 통계를 보면 2019년 기준으로 전국 평균 유수율이 85.2%, 누수율은 14.8%다. 하지만 제주는 유수율이 47.1%, 누수율이 43%다. 전국 대비 유수율은 절반 정도, 누수율 수준은 4배 정도로 높아 심각한 수준이다.
도감사위는 상하수도본부가 오는 2025년까지 잔여 사업비 2,500억여 원을 투입하더라도 목표 유수율 달성은 물론 유수율이 크게 개선되지 못할 것으로 진단했다. 도 감사위는 “상하수도본부는 실현 가능한 목표 유수율 설정 등 상수도 관망의 목표 유수율 유지·관리계획을 재수립해 목표 유수율이 제고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에 상하수도본부는 “그동안의 유수율 제고 사업 추진 상황, 인구 및 관광객 증가에 따른 급수 상황 변화 등 상수도 환경이 변했다”며 “환경 변화에 따라 제주에 알맞은 목표 유수율을 재설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