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가 내년 2월 베이징동계올림픽에서 미국이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하고 있는 것에 대해 "올림픽을 정치화해선 안 된다"고 밝혔다. 중국의 인권 상황을 문제 삼아 미국, 영국 등이 베이징올림픽에 정부 고위 사절단을 보내지 않으려는 움직임을 견제한 것이다. 베이징올림픽을 계기로 한 정부의 종전선언 구상은 물론 문재인 대통령의 참석 여부까지 고민해야 하는 상황으로 번지고 있다.
싱 대사는 22일 YTN에 출연해 "올림픽은 전 세계인의 성스러운 일"이라며 "우리는 (올림픽을) 정치적으로는 안 했으면 좋겠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서방국가들의 보이콧 이유로 지적되는 신장위구르·홍콩 등의 인권 문제에 대해선 "사실무근"이라며 선을 그었다. 이어 "우리는 우리대로 중국의 일을 잘 펼쳐 나갈 것"이라며 "세계인들이 중국에 오는 것을 환영하지만 인권 문제는 자기(중국)가 알아서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18일(현지시간) 베이징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하느냐는 질문에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에 영국도 가세하면서 미국과 동맹국들의 집단 보이콧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싱 대사는 베이징올림픽을 계기로 한 종전선언 가능성에 대해선 "남북 간에 어떻게 합의하는지에 따라서 하는 일"이라고 전제하며 "중국은 평화스러운 성사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로서는 개방적이다. 다만 중국은 정전협정의 사인(서명)국"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중국하고 상의해서 하는 것이 맞다"고 했다. 중국이 1953년 체결된 정전협정의 당사국이라는 점을 재차 강조한 것으로, 종전선언 협의 과정에 중국이 참여해야 한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베이징올림픽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가동을 위한 동력으로 삼고자 한 정부의 속내는 복잡해지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베이징올림픽에 대한 정부의 입장에 대해 "정부는 남북관계 개선의 전기가 되고 동북아와 세계 평화에 기여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는 기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는 입장을 반복했다.
만약 미국이 외교적 보이콧에 나설 경우, 정부가 구상하는 종전선언은 차질이 불가피하다. 오히려 미중 갈등이 격화할 경우 미국의 주요 동맹국으로서 정부 고위 인사의 베이징올림픽 개막식 참석 여부까지 고민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정부 소식통은 문 대통령의 베이징올림픽 참석 여부와 관련해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며 "미국도 외교적 보이콧을 공식화하지 않은 만큼 북한을 포함한 주변국들의 움직임을 좀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