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소니 준우승 김도현, 결선 무대를 라이브로

입력
2021.11.05 15:45
4일 예술의전당 군포프라임필 협연 리뷰


피아니스트 김도현이 국내 무대에 올랐다. 2019년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 출전해 국내에 이름을 알렸고, 지난달 부소니 콩쿠르에서는 준우승을 했다. 4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군포필하모닉오케스트라(지휘 여자경)과의 협연 무대는 준우승 이후 첫 국내 무대다. 연주할 작품은 프로코피예프 피아노 협주곡 2번. 피아노 협주곡 중 연주하기 가장 까다롭다고 평가받는 작품이다. 프로코피예프의 작곡 방식도 난해하지만, 이 음악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감정은 더욱 깊고 복잡하다. 이 작품은 김도현이 부소니 콩쿠르 결선에서 선보였던 작품이기도 하다. 당시 중계로만 지켜본 한국의 관객들에겐 그의 연주를 라이브로 들어 볼 수 있는 기회였다.

피아노가 첫 발을 내딛는 분산화음부터 김도현은 콩쿠르보다 훨씬 편안한 모습이었다. 그리고 이내 1악장 카덴차에 이르렀다. 언뜻 야성적이고 야만적으로 보였지만 철저히 계산된 클라이막스였다. '지킬과 하이드' 사이에서 탁월한 균형을 갖췄다. 정신 없이 기교적인 패시지에서도 부각해야 할 장치들을 선명하게 드러내고, 결코 온전한 광기의 하이드가 등장하지 않았다.


연주 내내 같은 기조를 유지했다. 아무리 음표들의 배열이 혼란스러워 보일지라도, 작곡가가 계산적으로 이 작품을 그렸기 때문에 연주자 역시 작품에 치밀한 접근이 필요하다. 김도현은 섬세한 다이나믹 설계 등 잘 통제된 음악으로 의도된 무질서를 그려냈다. 이로 인한 짜릿한 서스펜스는 덤이었다. 폭발하는 듯한 극도의 흥분상태를 확실하게 표현할 수 있었던 이유도 철저한 빌드업 과정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큰 충격에 비틀거리는 사나이, 구원할 수 없는 절망의 깊이, 견디기 힘들 정도의 갑작스러운 충격 등 작품의 심상이 모두 선명하게 무대 위에 탄생했다. 또 가진 테크닉도 뛰어나, 이 작품의 모던하고 세련되면서 입체적인 특징을 효과적으로 부각시켰다.

군포프라임필 역시 김도현의 음악을 받아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훈련이 되어 있었다. 협연자와 개성을 경쟁하기보다는 '훌륭한 서포터'가 되는 쪽을 택했다. 부소니 콩쿠르 결선 당시, 김도현은 하이든 오케스트라와 이 작품을 연주했다. 하지만 오케스트라가 연주자의 호흡을 제대로 받쳐 주지 못해 아쉬운 대목이 많았다. 이 날 군포프라임필과 여자경 지휘자는 그 아쉬움을 해소해 주었다.

마침내 작품이 끝나고 한참의 커튼콜 끝에 김도현 피아니스트는 다시 무대에 앉았다. 앙코르로 고른 작품은 쇼팽 에튀드(Op. 25-1)이었다. 역시 지난 부소니 콩쿠르에서 연주한 작품이다. 황폐하고 공포스러운 본프로그램 뒤 더없이 적절한 달콤한 앙코르였다. 앞선 프로코피예프가 음산한 분산화음으로 시작했다면, 쇼팽의 분산화음은 평화롭고 부드러웠다. 악몽 속에서 이제 그만 깨어나게 해줄 선곡이었다. 작품의 완성도도 높았다. 내성(Inner voice)을 훌륭하게 컨트롤해 작품이 가진 긴 메인 멜로디가 자연스럽게 들렸다. 각 성부가 작품에서 해야 할 역할을 명확히 알고 있었다. 그 덕에 악보에 놓인 많은 음들이 유기적으로 모여 하나의 노래로 들렸다.

클래식 애호가들은 더 듣고 싶은 연주와 이제 그만 들어도 될 것 같은 연주가 있다고들 한다. 김도현 피아니스트는 전자였다. 더 많은 작품들을 청해 듣고 싶은 피아니스트였다.


허명현 객원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