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계적 일상회복'이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서울 주요 상권은 여전히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올해 3분기 변이 바이러스 확산이 몰고 온 코로나19 4차 대유행의 여파로 서울 명동은 중대형 상가 절반이 문을 닫았다. 서울 홍대·합정 상권도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공실률이 높아졌다.
2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조사'에 따르면 올 3분기 서울의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직전 분기 대비 0.2%포인트 높아진 9.7%다. 소규모 상가(6.7%)도 공실률이 0.2%포인트 상승했다.
상권별로는 서울의 대표 도심 상권인 명동의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47.2%까지 치솟았다. 올해 2분기 공실률(37.3%)이 1분기(38.4%)보다 소폭 내려가면서 상권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감돌았지만 3분기에는 문을 닫은 곳이 급증했다. 소규모 상가 공실률도 직전 분기와 동일한 43.3%로 집계됐다.
대학이 밀집한 홍대·합정 상권 공실률도 중대형 상가(15%→17.7%)와 소규모 상가(22.6%→24.7%) 모두 악화됐다.
지난 7월 시작된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된 결과로 풀이된다. 6월까지만 해도 정부는 백신 접종 본격화와 코로나19 확진자 추이 등을 감안해 방역조치를 완화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델타 변이' 유행으로 '역대급' 거리두기 조치가 수개월간 이어지면서 주요 상권들이 직격탄을 맞았다.
한국부동산원은 "명동에서 외국인 관광객이 급감했고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침체가 홍대·합정 상권을 중심으로 지속되면서 서울 전체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9.7%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문을 닫는 상가가 늘면서 임대료 수준을 나타내는 '임대가격지수'도 하락했다. 서울 중대형 상가의 임대가격지수는 외국인 관광객 의존도가 높은 명동과 남대문 상권이 각각 4%, 1.42% 떨어져 전체적으로 전 분기 대비 0.14% 내려갔다.
다만 다음 달 '위드 코로나' 전환을 앞두고 상권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도 나온다.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알스퀘어 관계자는 "해외 관광객 수요가 중심인 상권은 회복이 더딜 것으로 보이지만 국내 유동인구 유입이 원활한 상권을 중심으로 연말에는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