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9일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쏘아 올린 플랫폼은 바지선(수중 구조물)이 아닌 고래급(신포급ㆍ2,000톤) 잠수함이었다. 조선중앙통신은 20일 “국방과학원이 5년 전 첫 잠수함발사전략탄도탄을 발사한 ‘8ㆍ24 영웅함’에서 또 다시 새형(신형)의 잠수함발사탄도탄을 성공시켰다”고 보도했다. 북한이 명시하진 않았지만 신형 SLBM은 지름이 1m 미만인 ‘미니 SLBM’으로 추정된다.
8ㆍ24 영웅함은 북한이 2016년 8월 24일 최초의 SLBM 북극성-1형을 시험 발사한 구형 잠수함의 이름이다. 북한은 첫 발사를 기념하기 위해 잠수함 함교에 824라는 숫자를 큼지막하게 새겨 넣었다.
북한이 5년 만에 구형 잠수함을 다시 등장시킨 건 ‘세계 7번째 SLBM 운용국’을 자처한 남측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 군 당국은 지난달 15일 독자 개발한 SLBM 시험 발사에 성공하자 “미국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 인도에 이어 7번째로 잠수함에서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국가가 됐다”고 설명하며 북한은 제외했다. 북한의 SLBM 발사가 주로 바지선에서 이뤄진다는 사실을 근거로 삼았다. 이 때문에 북한이 5년 전 잠수함을 신형 SLBM 발사 플랫폼으로 선택해 “개발은 우리가 먼저”라는 점을 우회적으로 강조했다는 풀이다.
북한이 틀린 주장을 한 건 아니다. 실제로 북극성-1형(지름 1.1m) 발사 당시 깊이 15~20m 수중에서 발사한 미사일이 기체 압력에 의해 수면 위로 제대로 떠올라 점화되는, 이른바 ‘콜드 론치’(cold launch) 성능을 잠수함에서도 충족했다. 콜드 론치는 SLBM의 핵심 기능이다. 이미 SLBM을 개발했고, 성능 개량 과정에서 미니 SLBM 시험 발사에도 성공한 셈이다.
단, 실전 운용이 가능한 단계는 아니다. 2,000톤급 잠수함에는 SLBM을 쏠 수 있는 발사관이 한 개밖에 없기 때문이다. SLBM을 한 발만 탑재한 잠수함은 전략적 가치가 없다. 반면 수직발사관이 6개나 있는 도산안창호함에서 SLBM 시험 발사에 성공한 우리 군은 당장 실전에 투입할 수 있다.
북한 역시 3~5개의 SLBM 발사관을 장착한 3,200톤급 잠수함을 제작하고 있다. 잠수함장을 지낸 문근식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교수(예비역 해군 대령)는 “북한이 5년 전 잠수함을 재사용한 것은 신형 잠수함 건조에 뭔가 차질이 생겼다는 의미도 된다”고 분석했다.
북한이 1년 전 열병식에서 공개한 신형 SLBM인 북극성-4형과 5형이 아닌 이달 11일 ‘국방발전전람회’에서 선보인 미니 SLBM을 먼저 테스트한 것도 이 같은 해석에 힘을 싣는다. 몸집이 큰 북극성-4ㆍ5형을 테스트할 수 있는 3,000톤급 잠수함이 아직 준비가 안 된 것이다. 2019년 북극성-3형 시험 발사를 잠수함이 아닌 바지선에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물론 사거리 590㎞로 한반도 전역은 물론 일본까지 타격 가능한 미니 SLBM도 큰 위협이다. 몸집은 작아졌지만 총알처럼 형상은 한층 날렵해졌다. 군사전문가들은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로 불리는 지상 발사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해상용 단거리 SLBM으로 개량해 첫 시험 발사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비행 마지막 단계에서 변칙적 ‘풀업(활강 및 상승)’ 기동으로 요격이 까다로운 이스칸데르의 장점을 그대로 흡수했다.
북한도 이날 신형 SLBM 성능과 관련, “측면 및 활공 도약 기동을 비롯한 많은 진화된 조종유도기술들이 도입돼 수중작전 능력 향상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며 풀업 능력을 강조했다. 문 교수는 “안 그래도 SLBM은 움직이는 잠수함에서 쏴 추적이 어려운데, 풀업 기동까지 갖추면 요격은 더욱 힘들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SLBM을 완벽하게 방어하는 방법은 우리에게 없는 무제한 잠항이 가능한 핵추진 잠수함이 SLBM 잠수함을 추적하는 것뿐”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