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최근 서울투자청을 설립해 해외 기업과 자본을 유치, 서울을 '글로벌 톱 5 금융도시'로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다. '홍콩 사태' 이후 아시아 금융허브로서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는 홍콩 상황을 염두에 둔 구상이었지만, 적지 않은 이들이 물음표를 던졌다. '그것도 5년 내 달성하겠다는 것인데, 과연 실현 가능한 계획이냐.'
이에 오세훈 시장은 "목표는 처음 들었을 때 '진짜 달성 가능한가, 싶을 정도의 도전적인 것'이 좋다"며 "그렇지만 5년이면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지난달 27일 '서울의 금융경쟁력'을 주제로 열린 제프리 존스 주한미국상공회의소 이사회 회장과의 대담에서 나온 발언으로, 오 시장은 그 자신감의 근거로 서울이 가진 인적, 기술적 역량을 꼽았다.
서울시의 이 같은 구상에 대해 존스 회장은 "홍콩에서 많은 기업이 이탈하고 있고, 그런 면에서 서울시에는 아주 좋은 기회"라고 평가했다. 이에 오 시장은 그 같은 분석에 동의하면서도 정부가 글로벌 금융도시 육성 전략을 수정하고 규제 완화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 시장에 따르면 서울의 금융경쟁력(국제금융센터지수·GFCI)은 지난해까지 30위권에 그친다. 이에 대해 "(글로벌 금융도시 육성을 위한) 잘못된 전략 설정과 과도한 규제가 총체적 난국을 빚은 결과"라고 평가한 오 시장은 분야를 막론하고 정부가 펼치고 있는 국토균형발전 정책과 주52시간근무제 등을 서울의 금융경쟁력 하락 요인으로 꼽았다.
특히 국토균형발전 전략 아래 서울 외 제2, 제3의 금융도시 계획이 추진되고 있는 데 대해 오 시장은 "국내에서는 일단 서울을 (글로벌 금융허브로) 끌어올린 뒤 부산, 인천 등 다른 도시들이 낙수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정부가 발상의 전환을 통해 전략을 수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금융 분야에도 주52시간근무제를 적용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선, "52시간근무제 도입 때 금융 분야는 적용에서 제외됐어야 했던 산업이지만, 그렇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금융시장이 '크게 3개의 대륙이 8시간씩 시차를 두고 24시간 밤낮없이 돌아가는 글로벌 시장'이라는 점이 간과됐다는 지적이다.
오 시장은 또 싱가포르 홍콩과 비교할 경우 법인세 최고세율이 몇 배 더 높은 서울의 상황을 언급하며 "이런 상황에서 글로벌 기업들에 서울로 오라고 말하긴 난감하다"며 정부의 반기업적인 규제 완화를 요구했다.
이날 대담에 나선 존스 회장은 '벽안의 한국인'으로 불리는 미국 출신의 변호사로, 1998~2002년 미 상공회의소 회장을 지냈다. 그는 1999년부터 현재까지 서울시 외국인투자 자문위원을, 2001년부터는 서울국제경제자문단(SIBAC) 고문을 맡는 등 서울의 도시경쟁력 강화에 힘을 보태고 있는 인물이다.
존스 회장이 이번 기회를 잡기 위해선 정부의 정책 전환을 끌어낼 서울시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하자, 오 시장은 역지사지(易地思之)와 고장난명(孤掌難鳴)을 언급했다. 한국 투자를 고려하는 외국기업 입장에서 생각하는 태도와 함께 '서울의 국제금융도시 5위권 도약' 목표 아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힘을 합쳐야 한다는 말이다.
오 시장은 또 적지 않은 제약에도 서울은 경쟁력 있는 도시임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미래 금융산업은 비대면으로 갈 수밖에 없고, 꽃을 피우기 위해선 블록체인, 인공지능(AI), 5세대 이동통신망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환경을 선도할 수 있는 역량의 인적 자원이 존재하고, 향후에도 그 같은 인력을 키워낼 수 있는 나라와 도시가 어디에 있느냐"고 반문했다. 도쿄, 상하이, 베이징 등 그 어느 도시보다 아시아에선 서울이 1위의 도시라는 것이다.
서울시가 글로벌 금융도시로의 도약에 공을 들이고 있는 것과 관련, 오 시장은 "제조업이 금융산업과 조화를 이룰 때 어느 나라든 산업 환경이 좋아지고 일자리도 창출된다"며 "그런 점에서 금융 경쟁력은 포기할 수 없는, 도시의 기본적인 숙제"라고 강조했다. 서울을 뉴욕, 런던, 파리, 도쿄, 싱가포르에 맞먹는 글로벌 금융도시로 키워야 할 당위성이 여기에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오 시장은 "서울시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먼저 시작하겠지만, 수도 서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앙정부도 적극 나서줄 것"을 거듭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