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 탄소중립 달성, 속도 조절 필요”… 산업계, 높아지는 우려

입력
2021.09.29 04:30
2면
국내 기업 탄소배출 절감 효율 이미 최고 수준
기술개발 필요하지만 2030년까지는 어려워
기업 눈높이에 맞춰야

국내 산업계가 정부의 ‘탄소중립 2050 달성' 방향성에는 공감하지만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국내 기업들의 탄소배출 절감 효율이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이어서 더 높이긴 어려운 데다, 탄소저감 미래기술 개발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우리나라의 2030년 탄소배출 국가감축목표(NDC)의 눈높이를 낮출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산업계는 28일 대한상공회의소를 통해 ‘2050 탄소중립 및 2030 NDC’에 대해 "이상적 목표가 아닌 현실적 가능성을 기반으로 수립돼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한 기업 관계자는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려면 수소환원제철,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등 미래기술이 필요하지만 2030년까지 개발은 어렵다"며 "2030 NDC는 현실적인 기술 수준과 감축 여력을 고려해 수립돼야 한다"고 말했다.

산업계에서는 탄소중립이 새 경제질서로 자리 잡은 만큼 한국도 반드시 가야 할 방향임은 분명하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1992년 기후변화협약이 체결된 후 30년간 국내 기업은 목표관리제, 배출권거래제 등 정부 정책에 맞춰 감축기술을 적극 도입한 결과 탄소배출 효율을 42% 이상 개선해 이미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한 기업 관계자는 “탄소중립을 위한 미래기술은 개별 기업이 개발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라며 "정부의 과감한 자금 투입 등 국가적 역량이 투입돼야 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2030 NDC 달성과 기업의 이행부담 완화를 위해 국내 기업의 해외 감축실적을 적극 활용하자는 의견을 전달하기도 했다. 또 다른 기업 관계자는 "온실가스 감축은 글로벌 차원의 문제”라면서 “유럽연합(EU)과 일본의 사례와 같이 우리 기업의 해외 감축실적을 NDC 달성에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