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어 게임'으로 잘 나가는 넷플릭스, 이대로 괜찮을까

입력
2021.09.28 10:16
한류 문화 수혜 입은 넷플릭스, 국내 이미지 악화 우려
끊이지 않는 작품 논란 어쩌나

최근 국내 콘텐츠로 넷플릭스가 큰 수혜를 얻고 있다. 국내 콘텐츠 '오징어 게임'이 전 세계 TV프로그램 부문 1위를 나흘째 거머쥐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세계적 폭발력을 가진 넷플릭스지만 논란도 꾸준하다. 최근 '오징어 게임' 개인 정보 유출부터 망 사용료 논란, 절세 의혹까지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최근 와이즈앱에 따르면 넷플릭스의 지난달 국내 결제 금액은 753억 원으로 추정됐다. 이는 지난 2020년 8월 결제금액인 424억 원보다 78% 성장한 수치다. 결제자 수는 2020년 8월 316만 명에서 올해 514만 명으로 63% 늘었다. 이는 국내 콘텐츠인 'D.P' '오징어 게임' 등의 파급 효과로 보인다. '오징어 게임'의 경우 한국 시리즈 최초로 미국 넷플릭스 '오늘의 TOP10' 전체 1위를 기록하는 성과를 얻었다.

앞서 넷플릭스는 국내 콘텐츠에 대한 큰 관심을 보이며 5,500억 원을 투자하는 등 공격적인 태세를 취한 바 있다. 그러나 넷플릭스의 화려함 이면에는 크고 작은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앞서 '오징어 게임'은 실제 사용 중인 개인 휴대 전화번호가 유출되며 논란이 불거졌다.

작중 1회에서는 주인공 기훈(이정재)이 정제 불명의 남자(공유)에게 받은 명함 속 한 휴대 전화 번호가 실제 이용 중이라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작품이 공개된 후 많은 이들이 해당 번호로 전화를 걸었고 실 소유자의 피해가 불거졌다. 이와 관련 피해를 호소한 A씨는 일상생활이 어렵다고 호소했고 넷플릭스와 제작사에 작중 쓰이는 번호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확인하지 않았냐는 질책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 번호의 소유자가 있다는 것을 사전에 확인했으면 일어나지 않았을 논란이다.

이후 제작사 싸이런픽쳐스 측은 피해자들에게 보상책으로 100만 원을 제시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해결책을 놓지 않고 있다. 보도 직후 넷플릭스는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 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넷플릭스 관계자는 본지에 "'오징어 게임' 제작사 싸이런픽처스에서 추석 연휴 이전부터 해당 번호 소유자 분과 수차례 통화를 나누며 원만한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계좌번호 유출에 대해서는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사전 협조한 이후 사용한 번호"라 해명했다.

'오징어게임'이 독립운동가를 모욕했다는 비판도 이어졌다. 극중 탈북자인 여성 캐릭터가 독립을 언급하자 한 인물은 "네가 유관순이냐? 그럼 태극기나 쳐 흔들던가. 아 넌 북한 X이니까 인공기 흔들어야겠네"라 말했고 일부 시청자들은 유관순 열사를 비하했다고 지적했다.

넷플릭스 작품의 논란은 'D.P'에서도 대두됐다. 극중 세븐일레븐의 점주를 부정적으로 묘사하면서 명예훼손을 야기했다. 'D.P.' 5회차에서는 한 편의점 점주가 아르바이트생에게 "유통기한 지났다고 바로 치우면 적자 나는 건 네가 메꿀 거냐"며 가슴팍을 친 후 "다시 채워놔"라고 지시한다.

해당 장면에서 세븐일레븐의 로고가 적나라하게 나온 것이 문제가 됐다. 당초 제작사에서는 세븐일레븐에 촬영 협조를 요청하면서 부정적 내용은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을 약속했으나 실제로 공개된 장면에서는 브랜드 이미지를 훼손하는 행위가 나와 결국 넷플릭스는 문제의 장면을 수정했다.

작품 외에도 논란은 지속 중이다. 넷플릭스는 현재 SK브로드밴드와 망 사용료를 둘러싼 법적 다툼을 이어가고 있다. 넷플릭스 등에 인터넷 망 사용료를 물리는 내용의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 이른바 '넷플릭스 법'이 지난해 5월 국회를 통과했다. 앞서 서울중앙지방법원 재판부는 넷플릭스가 SK브로드밴드에 망 사용료를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결했으나 넷플릭스는 항소심을 진행하며 접속은 망 사용료를 지불하지만, 전송의 경우에는 지불할 필요가 없다는 취지의 반박을 내놓았다. 다만 재판과는 별개로 "공동의 소비자의 이익을 위한 모든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이다.

넷플릭스에게 국내 콘텐츠 제작은 한류 문화 열풍에 탑승할 주요 무기다. 작품들의 논란이 지속되면 넷플릭스의 이미지 타격은 피할 수 없다. 국내 시청자 수도 무시할 수 없다. 국내 콘텐츠 인기에 편승한 이 시점, 제작진부터 기업 운영진까지 모두 고심이 필요한 순간이다.

우다빈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