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영변 핵시설에서 또다시 수상한 움직임이 포착됐다. 우라늄 농축 시설을 확장하는 징후가 나타난 건데, 사실이라면 공사 규모로 볼 때 북한은 핵무기 생산에 쓰이는 고농축 우라늄을 지금보다 25%가량 더 생산할 수 있게 된다.
16일(현지시간) 미국 CNN방송 등에 따르면 제임스 마틴 비확산연구센터와 미들베리 국제학연구소는 지난달 3일과 9월 1일, 14일 영변 핵시설을 촬영한 위성사진을 분석한 뒤, “우라늄 농축 확장 공사가 이뤄지고 있다”고 결론 내렸다. 우라늄 농축 공장으로 알려진 알파벳 ‘U’자 형태의 건물 안쪽 공간이 지난달 초까지만 해도 공터였으나 이달 들어 외벽이 생겨났다는 게 근거다. 해당 외벽은 본 건물과 연결돼 있는 것으로 추정됐으며, 주변에서 건축 자재로 보이는 물체들도 여럿 위성 카메라에 잡혔다.
확장 공사가 진행 중인 공간은 약 1000㎡로, 산술적으로 우라늄을 농축하는 원심분리기 1,000개가 들어갈 수 있다. 제프리 루이스 미들베리 국제학연구소 동아시아 비확산연구센터 소장은 “원심분리기 1,000개가 추가될 경우 고농축 우라늄 생산능력은 25%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앞서 5월 영변 핵시설을 재가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지난달 공개한 북핵 관련 보고서에서 “7월 초부터 영변 핵시설 내 5㎿(메가와트)급 원자로에서 냉각수 방출을 포함한 가동 정황이 포착됐다”고 밝혔다.
영변 핵시설 움직임이 활발해진 것은 올해 1월 8차 노동당 대회 당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제시한 목표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 위원장은 당대회에서 국방공업발전을 위한 전략적 과업으로 △핵무기의 소형화와 전술무기화 촉진 △초대형 핵탄두 생산 △1만5,000㎞ 사정권 안의 타격 명중률 제고 등을 제시했다. 이중 초대형 핵탄두 개발을 위해 핵물질 생산을 늘릴 필요성이 생겼고, 영변 핵시설에서 관련 준비를 하고 있다는 관측이다. 루이스 국장은 “(북한이 언급한) 초대형 핵탄두 제조에는 상당량의 고농축 우라늄이 구비돼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북한은 최근 부쩍 잦아진 핵ㆍ미사일 활동이 김 위원장의 지시에 따른 군사행동임을 강조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15일 진행된 ‘철도기동미사일연대’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 소식을 전하며 “철도미사일연대는 8차 당대회 결정에 의거해 조직됐다”고 전했다.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도 같은 날 대남 담화에서 신형 장거리 순항미사일 시험발사(11, 12일)와 관련, “당대회에서 결정된 ‘국방과학발전 및 무기체계 개발 5개년 계획’의 첫해, 중점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정상적ㆍ자위적 활동”이라고 주장했다.
한 국책 연구기관 관계자는 “당대회에서 김 위원장이 재가한 국방 사업을 차근차근 실행에 옮기겠다는 의미”라며 “여기에는 신형 핵탄두 개발에 필요한 핵실험이나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도 포함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