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받이 대통령'이 될 것인가

입력
2021.09.13 18:00
26면


경선 압승 이재명, 불안정감 떨쳐내야
윤석열, ‘고발 사주’ 의혹 넘을지 관건
‘무야홍’ 홍준표 품위와 돌출 행동 약점


어차피 지금은 ‘백마 탄 초인(超人)’을 기대하기 어려운 시대다. DJ나 YS 같은 정치 거목은 언감생심이고, 노무현 같은 정치적 이상주의자도 발아하기 힘들다. 사회 격변보다는 안정적 변화를 원하는 시대의 흐름이 고만고만한 대통령을 배출하는 토양이다.

후보들이 난립하지만 선뜻 국가를 맡길 만한 사람은 눈에 띄지 않는다. 진영 간 대립이 어느때보다 격화하겠지만 그래도 선택의 우선적 기준은 인물이어야 한다. 국가 지도자의 자질과 능력, 품격에 따라 나라의 앞날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제 치러진 더불어민주당 경선 ‘1차 슈퍼위크’ 압승으로 이재명 경기지사는 유리한 위치를 점했다. 하지만 탄탄한 지지를 받고 있는 그에게도 약점은 있다. 굳이 이 지사의 사생활 문제를 거론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이미 유권자들의 판단을 받았거나 앞으로 받게 될 터다. 그를 지지하지 않는 이들은 주로 불안정함을 이유로 꼽는다. "그가 대통령이 되면 어디로 튈지 모른다”는 우려가 보수층은 물론 일부 민주당 지지층에게도 엿보인다.

그의 언행과 태도뿐이 아니다. 이 지사가 내세우는 ‘기본시리즈’ 공약에 불신을 품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미래 담론을 선점하고 공론의 장으로 이끈 것은 의미가 있지만 현실로 옮겨질 수 있을지에는 회의적이다. “당선만 되면 그만”이라는 생각은 위험하다. 사회 불평등과 복지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게 고치고 다듬어야 한다.

기로에 선 이낙연 전 대표의 위기는 네거티브와 손을 잡은 순간 배태됐다. 가장 네거티브와 거리가 먼 것처럼 보이는 인사가 바로 자신이라는 점을 그는 잊었다. 총리 시절 국회에서 보여준 안정감과 포용력이라는 장점을 왜 살리지 못했는지 의문이다. ‘경선 불복론’이 캠프에서 나오도록 방치한 것도 그답지 않다. ‘의원 사퇴’라는 배수진은 적절치 않지만 그런 각오로 제모습을 찾는다면 실낱 같은 기회가 열릴 수 있을 것이다.

국민의힘 후보들은 대중의 ’정권 교체’ 열망을 등에 업은 유리한 조건이다. 그 맨 앞에 선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상대방보다는 자신의 문제에 부딪혀 있다. 사실 그를 지지하는 다수는 웬만한 하자(瑕疵)는 묻어둘 태세다. 그가 내세운 가치인 ‘공정’과 ‘상식’의 토대가 허물어지지만 않는다면 토론이나 공약을 후순위로 여길 만큼 맹목적이다.

하지만 윤 전 총장이 공고히 쌓아 올린 성채는 위태롭다. 스스로의 의지로는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게 더 고약하다. 공수처의 ‘고발 사주’ 의혹은 그를 파멸로 이끌 수도 있는 뇌관이다. 국민에게 호통을 치다시피 한 기자회견은 그 두려움의 반증이다. 권력에 저항했던 정의와 공정이 자신과 가족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됐는지가 생사를 가를 것이다.

홍준표 의원의 급부상은 ‘윤석열의 대항마’로서의 존재감을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 ‘홍나땡(홍준표가 나오면 땡큐)’이라며 민주당에 퍼지던 미소는 싹 가셨다. 그러나 강경 보수에서 중도로, 심지어는 진보까지 기웃대는 돌변은 뜬금없다. ‘뇌물 받고 벼랑에서 떨어진 대통령’을 갑자기 '훌륭한 대통령'으로 추어올리는 모습에서 진정성을 찾기는 어렵다. 사형제 집행, 사시 부활, 모병제 실시 등의 공약은 즉흥적이라 신뢰가 떨어진다.

‘권력의지’는 중요한 대통령의 조건이지만 대선 주자들에게는‘권력욕’만 보인다. 나름대로 구축한 경륜과 통찰력, 품성 등의 강점을 내세워 평가받으려 하지 않고 경쟁자를 주저앉히는 데만 골몰하는 모습이다. 유권자 부동층이 역대 최대를 넘는 것은 “마음에 드는 후보가 없다”는 방증이다. 국민의 눈높이는 저만큼 올라가 있는데 대선 주자들은 한참 미치지 못한다. 후보 각자가 대통령 될 자격이 있는지부터 냉철히 자문하기 바란다.


이충재 주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