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도쿄 하계올림픽에 불참한 북한이 내년 2월 열리는 베이징 동계올림픽 참가 자격을 박탈당했다. 베이징올림픽에서 남북 대화 재개의 물꼬를 트려 했던 문재인 정부의 임기 막판 대북 구상도 차질을 빚게 됐다.
8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은 이날 스위스 로잔 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 올림픽위원회(NOC)는 도쿄올림픽에 선수단을 보내지 않았다”며 “IOC 이사회는 만장일치로 NOC의 자격을 2022년 말까지 정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자격 정지 기간 NOC에 대한 재정적 지원도 중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림픽 헌장 4장 27조에는 ‘각국 올림픽위원회는 선수를 올림픽에 파견하고 참가할 의무를 가졌다’고 규정돼 있다. 북한이 합당한 사유 없이 헌장을 위배한 만큼 제재를 해도 정당하다는 게 IOC 측 논리다.
북한 체육성은 앞서 4월 6일 ‘조선체육’ 홈페이지를 통해 “조선(북한)올림픽위원회는 총회에서 악성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의한 세계적 보건 위기로부터 선수들을 보호하기 위해 위원들 제의에 따라 제32차 올림픽 경기대회(도쿄올림픽)에 참가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IOC는 NOC 자체 결정에 대해서도 “우리는 도쿄올림픽 몇 달 전부터 안전한 개최를 재확인했고, (코로나19) 백신 제공 등 적절한 해결책을 마지막 순간까지 제안했지만 북한은 이를 거절했다”고 불쾌감을 숨기지 않았다. IOC는 다만 “제재 기간은 집행위원회 결정에 따라 재고할 수 있다”면서 여지는 남겼다.
그간 외교가에서는 북한의 베이징 올림픽 참가 가능성을 높게 점쳤다. 북한의 ‘혈맹’ 중국이 개최하는 대형 스포츠 이벤트라는 점에서 최고위급 인사가 개막식에 참석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이런 기류를 감안해 정부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때처럼 베이징에서 남북 고위급 접촉을 통해 꺼져가는 남북관계의 불씨를 살려볼 참이었지만, IOC 제재로 물거품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IOC 결정과 관련,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9일 “IOC가 회원국에 취한 조치라 정부 차원에서 별도로 논평할 사안은 없다”며 “다양한 계기를 마련해 남북 간 스포츠 교류와 한반도 평화를 진전시킬 방안을 찾아보고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 간 접촉 여지가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니라는 기대 섞인 전망도 있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 선수단이 올림픽에 참가할 수 없는 것일 뿐, 중국 정부가 북한 인사를 초청할 경우 개막식에는 얼마든지 참석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물론 이 같은 시나리오가 성사되더라도 자국 선수단이 경기를 뛰지 못하는 마당에 북측이 얼마나 무게감 있는 인사를 보낼지는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