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 세계를 강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저소득 국가에서 영유아 사망자 수가 26만 명 넘게 늘어났을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존에 열악한 보건·돌봄 체계 탓에 어린아이나 노인 같은 취약계층에서 목숨을 잃는 사례가 눈에 띄게 증가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백신 태부족 현상과 마찬가지로, 가난한 나라가 훨씬 더 큰 타격을 받는 '코로나19 시대'의 또 하나의 단면이다.
세계은행은 24일(현지시간) 영국의학저널(BMJ)에 게재한 연구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저소득 국가 128개국에서 영유아 초과 사망자가 26만7,000명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과거 사망자 수 등에 근거해 산출한 평년 예상 사망자 수보다 실제 사망자 수가 무려 7%나 많았던 것으로 파악됐다는 설명이다. 영유아 초과 사망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남아시아(8개국)로, 전체 11만3,141명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도 인도가 3분의 1 이상을 차지했다. 보고서는 "작년 인도 경제가 17.3%나 위축된 반면, 출생아 수는 가장 많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코로나19 질병 자체가 직접적 영향을 미친 탓도 있으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한 경제 위기가 '소득 쇼크'를 일으켜 유아 사망률을 높인 측면이 컸다고 분석했다. 국내총생산(GDP)의 폭락이 사회안전대책이 부족한 빈곤국에서 예상보다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켰다는 의미다. 한 가구 소득의 하락은 영유아의 영양 상태나 보건 서비스 접근 능력에 악영향을 끼치는데, 국가 전체의 경제 위기는 보건 서비스의 질 자체를 하락시켜 더 큰 피해로 귀결된다고 덧붙였다.
물론 다른 취약계층의 사망률 또한 코로나19 경제 위기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연구팀은 "코로나19 예방·치료에 많은 노력을 쏟고 있는데, 전체 보건 체계를 안정화하고 사회안전망을 강화하려는 지원이 더욱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