혀끝에서 맴도는 이름

입력
2021.08.26 04:30
26면
8.26 설단현상


잘 아는 사람의 이름이나 연락처 등 정보가 일시적으로 기억나지 않아, 언어로 표현하지 못하는 현상을 심리학에서는 '설단(舌端)현상'이라 부른다. '설단'은 혀끝이다.

프랑스 작가 파스칼 키냐르는 유년기와 청소년기 두 차례 겪은 실어증 경험을 모티브로 소설 같은 짧은 동화 '혀끝에서 맴도는 이름'을 썼고, 그걸 쓰게 된 경위를 기록한 '아이슬란드의 혹한'과 언어-침묵-망각-복원의 수수께끼를 글쓰기의 숙명적 본질에 빗댄 에세이로 책을 엮은 바 있다.

그에게 작가란 "매끄럽게 빠져나가는 얼음덩어리 앞에서 일시 정지된 칼처럼,(...) 빠져나가는 단어를 향해 두 손을 내밀어 애원하는 자"다. 적절한 언어(단어)를 망각하거나 찾지 못해 안달하는 존재. '말 못하는(infans)'이라는 의미의 라틴어에서 '유년기(enfance)'란 낱말이 생겨난 것처럼, 아이들은 최소 7년의 언어적 결함 속에 살아가고, 음악가도 노래를 통해 그 결함에서 벗어나려 애쓰며, 작가 역시 그 "끔찍한 공포의 영구 주민"이라고 그는 썼다.

전문가들은 설단현상을 건망증 등 기억의 문제와 구분한다. 기억 장애가 저장과 관련된 문제라면 설단현상은 기억의 '인출' 장애다. 그 장애는 어떤 단서를 통해, 혹은 잠시 딴 생각을 하거나 긴장된 상황이 해소되면 거짓말처럼 사라지곤 하는, 우발적, 일시적 장애다. 물론 키냐르가 작가의 숙명이라고 말한 '언어를 향한 애원'은, 기억의 인출 장애가 아니라 특정 기억(언어)을 골라 소환하는 모든 과정을 의미한다.

설단현상은 미국 의학자 겸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 1842.1.11~ 1910.8.26)가 처음 언급한 개념이다. 보거나 경험한 적이 없는 상황을 마치 경험한 듯 느끼는 ‘데자뷔(deja vu)’와 구분해 그는 당장 기억하진 못하지만 거의 기억하고 있고 곧 기억해 낼 수 있으리라 느끼는 심리 상태를 '설단현상(presque vu)'이라 명명했다.

최윤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