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물가’가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다. 라면은 지난달 오뚜기가 평균 11.9%의 가격 인상을 결정한 데 이어, 농심이 오는 16일부터 전 제품 가격을 평균 6.8% 인상키로 했다. 삼양식품 역시 조만간 가격 인상에 들어갈 것이 확실하다. 라면값 인상은 지난해부터 소맥분과 팜유 등 생산가격의 60% 정도를 차지하는 원재료 가격의 지속적 상승을 반영한 것으로, 향후 주요 생필품 가격 전반을 자극할 가능성이 크다.
라면에 앞서 국제유가와 원재료값의 전반적 상승, 폭염에 따른 작황 불안 등에 따라 일부 가공식품 및 농산물 가격은 이미 급등했다. 수박은 지난달 30일 기준 개당 평균 2만3,900원대(소매)를 기록, 한 달 전 1만8,300원대에 비해 31.5% 올랐다. 같은 기간 시금치 등 여름채소 값도 최고 100% 이상 올랐다. 여기에 계란에 이어 우윳값도 오르고, 국내 밀가루 납품가격 역시 향후 10%대 인상이 예상돼 아이스크림부터 빵에 이르는 가공식품 줄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4월 2.3%로 급등한 이래 5월 2.6%, 6월 2.4%를 기록하는 등 2%대 상승률이 이어지고 있다. 전반적으로는 2분기 이래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국제유가의 영향이 크다. 다만 통계상 1%대 상승한 것으로 파악되는 집세는 최근 전ㆍ월셋값의 급등세를 감안할 때 실제론 오름폭이 더 클 가능성이 있는 등 물가 상승 체감도는 통계치보다 더 클 것으로 분석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최근 민생경제장관회의에서 “생활물가를 안정시키는 데 집중 노력해 달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국제유가 안정화 전망, 3분기부터 지난해 저물가 기저효과 완화 등을 근거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연간 목표치인 2%를 넘을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생활물가의 고삐를 놓칠 경우, 내수 소비 회복의 심리적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보다 긴밀한 관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