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화상 시스템'도 구축... 靑 "이산상봉 가장 실효적" 추진 방침

입력
2021.07.29 20:00
6면

정부가 남북대화 재가동을 위한 후속 조치에 본격 착수했다. 통신선 복원을 계기로 마련된 관계 개선 기반을 ‘화상협의 시스템’ 구축을 통해 이어가겠다는 구상이다. 감염병 확산이란 현실적 문제와 기술적 뒷받침을 두루 감안한 선택으로 보인다.

통일부 당국자는 29일 “남북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에 맞게 화상회의 시스템이나 대면 회담을 하더라도 안심하고 추진할 수 있는 방식을 협의해 나가려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화상회의 체계가 이미 갖춰져 있는 만큼 즉시 가동해도 큰 어려움은 없다는 입장이다. 이 당국자는 “남북 간에 구축된 통신회선 중 일부를 각자 영상회의 장비에 연결만 하면 돼 추가 작업은 필요 없다”고 설명했다.

소통에 필요한 기술적 난관이 해소되면서 다음 관심은 양측이 논의할 의제에 쏠린다. 이산가족 상봉은 단연 1순위 협력 과제로 꼽힌다. 정부가 이번엔 의제와 형식 면에서 북핵이나 정상회담 등 이전 방식을 지양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친 만큼 인도적 교류의 핵심인 이산상봉은 관계 진전을 견인하기에 안성맞춤이다. 실제 이산상봉은 과거 남북관계의 전환점을 마련한 단골 주제였다. 2008년 금강산에서 발생한 남측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으로 급랭했던 남북관계가 이듬해 10월 이산상봉을 계기로 잠시 이완됐던 게 대표적이다. 상봉 적기인 추석 연휴가 다가오고 있는 점도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청와대 역시 '화상 상봉'에 의욕을 내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화상 상봉은 남북 정상 간 합의사항이자 당면한 코로나19 상황에서 즉시 가능한 가장 실효적인 방식"이라며 추진 방침을 분명히 했다.

코로나19 백신 지원을 포함한 방역 이슈도 협력 테이블에 오를 수 있다. 남북 정상은 4월부터 주고받은 친서를 통해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도 얘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북한과의 방역 공조에 긍정적 입장인 데다, 북측 역시 최근 “전쟁 못지않은 시련”이라며 감염병 여파를 공개적으로 토로해 양측의 공감대는 충분히 형성돼 있다.

다만 국내 백신 접종률이 충분한 수준까지 도달하지 못한 상황에서 대북 지원을 결정했다간 비난 여론이 급증할 수 있어 정부도 섣불리 판단을 내리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대량ㆍ직접’ 백신 지원이 유일하게 가능한 미국이 북한에 대해 선(先)대화 기조를 고수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성사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다는 전망도 나온다.

김민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