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소비 회복세가 두드러지면서 올해 2분기(4~6월) 경제성장률이 0.7%를 기록했다. 1.7% 깜짝 성장했던 1분기에 이어 성장세를 이어가면서, 연간 4% 성장 달성 가능성도 높였다.
하지만 7월 이후 본격화된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변수로 등장했다.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살아나던 민간소비 회복세가 다시 고꾸라질 조짐을 보이면서 3, 4분기 성장률이 크게 둔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치)'에 따르면 2분기 한국 GDP는 전기 대비 0.7% 증가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1, 2분기 역성장을 기록한 이후 3분기(2.2%), 4분기(1.1%), 올해 1분기(1.7%)에 이어 4개 분기 연속 오름세다.
2분기 경제성장은 민간과 정부소비가 주도했다. 민간소비는 전 분기 대비 3.5% 늘면서 2009년 2분기(3.6%) 이후 12년 만에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소비자들이 의류 같은 준내구재와 음식이나 숙박 같은 서비스에 씀씀이를 늘린 영향이다. 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이 늘면서 정부소비 역시 3.9% 늘어 1987년 2분기(4.2%)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반면 한국 경제를 떠받치던 수출과 제조업은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자동차와 액정표시장치(LCD) 등을 중심으로 수출은 전 분기보다 2%나 감소했다. 수출 감소는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았던 지난해 2분기(-15.9%) 이후 1년 만이다. 그 결과 순수출의 성장 기여도는 전 분기 -0.3%포인트에서 -1.7%포인트로 크게 악화했다. 앞선 3개 분기 연속 오름세를 보였던 제조업도 -1.2%를 기록했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4, 5월 차량용 반도체 수급 문제까지 얽히면서 자동차 생산과 수출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친 결과"라고 설명했다.
앞서 한은은 1분기까지 강력한 경기회복 흐름을 토대로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4.0%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4.0% 달성을 위해선 남은 3, 4분기 최소 0.7%씩 성장률이 나와줘야 한다. 코로나 확산세를 감안하면 낙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한은은 "비관할 때가 아니다"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1~3차 대유행에 비해 확진자 수는 크게 늘었지만 앞선 '학습효과'로 인해 소비에 미치는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게 그 이유다.
여기에 집행을 앞둔 34조9,000억 원 규모의 2차 추가경정예산안(추경)도 성장률을 어느 정도 밀어올릴 수 있다고 보고 있다. 5월 이주열 한은 총재도 "1차 추경(14조9,000억 원)이 연간 성장률을 0.1~0.2%포인트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박양수 국장은 "이번 추경 규모가 1차보다 2~3배 커진 만큼 민간소비 등을 포함한 성장률도 당시 효과(0.1~0.2%포인트)보다는 더 커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백신 보급 차질과 맞물린 코로나 4차 확산 여파를 가늠하기 힘든 만큼 낙관론을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당장 GDP의 절반을 차지하는 민간소비 등 내수 회복에 차질이 빚어질 수밖에 없어서다.
임혜윤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한은과 정부가 각각 전망한 4.0%, 4.2% 성장은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다"며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에 따른 소비 위축을 감안할 때 2분기 같은 소비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전망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이날 "코로나 4차 확산과 거리두기 강화가 또다시 우리 경제의 리스크로 떠올라 마음이 무겁다"며 "강화된 거리두기에 따른 영향이 당분간 예상되는 만큼 피해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