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을 비롯한 전국 6개 도시지하철 노동조합이 총파업을 추진하고 있다. 경영 악화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 임에도 불구하고 그 책임을 직원들에게 전가, 대규모 구조조정을 밀어붙이는 데 대한 반발이다. 노조 내부에서는 파업을 통한 대응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어 실제 파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23일 서울교통공사와 서울지하철노조에 따르면 노조는 대전·대구·부산·인천·광주 등 5개 도시지하철 노조 합동 총파업 찬반 투표를 진행한다. 앞서 가진 대의원회의에서 이들은 쟁의행위 발생을 결의했다.
이는 서울교통공사 노사가 지난 14일 임단협 3차 교섭을 가졌지만, 구조조정안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한 데 따른 것이다. 사측은 인건비 절감 등 구조조정을 강행 입장을 고수했고, 이에 반대하던 노조는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이들은 내주 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 총파업을 위한 행정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노동쟁의 발생신고가 접수된 날로부터 15일이 지나면 쟁의행위를 할 수 있다.
이들이 파업하기 위해서는 노조원의 파업 찬반 투표를 거쳐야 한다. 과반 찬성이 나와야 한다. 그러나 노조 내부는 사실상 파업을 향해 가고 있는 분위기다. 노조 관계자는 "지금 상황에선 입장차가 너무 커 노동위에서 조정이 이뤄질 가능성은 작다"며 "현장에서 파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워낙 커 무리 없이 가결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 지자체 도시지하철 노조 관계자도 "문제는 찬성 비율일 뿐, 무난히 가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1조1,000억 원이 넘는 최악의 적자를 기록한 공사는 직원 1,539명을 감축하는 방안을 노조에 앞서 제시한 바 있다. 공사 정원 1만6,700명을 감안하면 약 10%에 이르는 규모다.
노조 관계자는 "공사 적자는 코로나19 여파인데, 그 적자를 인력 감축을 통해 보전하려고 하니 현장에선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고 말했다. 공사 관계자는 "총파업 전까지 합의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면서도 "파업이 발생하면 대책 인력을 투입해 지하철 운행에 차질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