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과 중국이 눈에 띌 정도로 가까워지고 있다. 2018년 3월을 떠오르게 할 만큼 관계가 좋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겸 노동당 총비서는 그 해 6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을 전격 방문,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만났다. 북미 대화 재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요즘도 북중은 친분을 한껏 과시하고 있다. 김 위원장 방중설도 그래서 나온다. 그때나 지금이나 대미 협상력을 강화하려는 의도인 건 같다.
조선중앙통신은 22일 전날 양국이 중국에서 김 위원장의 방중 3주년과 시 주석 방북 2주년을 기념하는 공동좌담회를 열었다고 보도했다. 이 자리에는 리룡남 주중 북한대사 등 북한대사관 외교관들과 쑹타오(宋濤) 중국 공산당 중앙위 대외연락부장 등 북중 고위급 인사들이 총출동했다. 양국이 최고지도자의 상호 방문을 계기로 공동좌담회를 연 것은 이례적이다. 같은 날 북중은 주재 대사가 나란히 상대 기관지에 ‘교차 기고’를 싣기도 했다. 누가 봐도 ‘혈맹' 수식어에 어울리는 밀착 행보가 역력했다.
만남 ‘공식’도 익숙하다. 김 위원장은 2018년과 2019년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연달아 시 주석과 대면했다. 미국과의 협상에 앞서 중국 측 양해를 구하고, 또 지원을 얻어내기 위해서였다. 이번에도 북한은 미국이 꾸준히 대화 신호를 보내자 중국과 우애를 다짐했다. 중국 역시 화답했다. 쑹타오 부장은 좌담회에서 “중조(북중) 친선은 대를 이어 계승되고 영원할 것”이라며 변치 않는 결속을 확인했다.
목적은 같다. 북한으로선 한미연합훈련 폐지 등 대북 적대정책 철회를 대화 선결 조건으로 내세우고 있는 만큼 미국과 으르렁거리는 중국을 끌어들여 조 바이든 행정부를 압박할 필요가 있다. 북중의 밀착이 도드라질수록 대중 포위망을 좁혀가려는 바이든 행정부의 구상에 차질이 생기기 때문이다. 중국 입장에서도 북한을 최후의 버팀목으로 삼아야 국제사회에서 확산되고 있는 ‘차이나패싱’ 우려를 그나마 덜게 된다.
3년 전 상황에 견줘 보면 김 위원장이 중국을 찾는 일만 남았다. 성사되면 시점은 조중우호협력조약 60주년을 맞는 내달 11일 전후가 유력하다. 우호협력 관계의 ‘정점’을 찍는 취지다. 다만 2018년과 달리 큰 변수가 있다. 여전히 위력을 떨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중 최고위급이 만날 동기는 확실하다”면서도 “코로나19 사태를 감안해 당분간은 기고문 교환이나 좌담회처럼 간접 접촉을 활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