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신임 국무총리로 임명된 김부겸 총리에 대해 "총리직에 적합하다"는 응답이 "적합하지 않다"는 응답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인사청문회 방식을 바꿔 도덕성은 비공개 검증하자"는 주장에는 대다수가 공감하지 않았다.
한국갤럽이 김 총리 인사청문회 이후, 임명 이전인 11~13일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김 총리가 총리직에 적합하다는 응답이 38%로 적합하지 않다는 응답 26%보다 많았다. 36%는 의견을 유보했다.
인사청문회 전과 후 모두 적합하다는 응답이 부적합하다는 응답보다 많았다. 총리 지명 직후인 4월 20~22일 조사에서는 '적합' 34%, '부적합' 18%였다. 인사청문회 후인 이번 조사에서는 의견 유보가 줄고, 적합·부적합 양론이 모두 늘었다.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에서 '적합' 의견이 우세한 점도 특이한 점이다. 모든 지역과 연령대에서 적합하다는 응답이 우세했다. 갤럽 측은 특히 "광주·전라와 대구·경북 지역 여론은 자주 대척하는데, 김부겸 후보에 대해서는 두 지역 모두 적합 의견이 40%대란 점이 눈에 띈다"고 지적했다.
부적합 응답이 우세한 응답자 특성은 국민의힘 지지층(45%), 이념적 보수 성향(37%), 대통령 직무수행 부정적 평가자(38%) 등인데, 이들 가운데서도 적합하다는 응답 역시 각각 31%, 30%, 29%로, 부적합으로 크게 쏠리는 양상은 아니었다.
"인사청문회를 투트랙으로 진행해 후보자의 능력은 공개, 도덕성은 비공개 검증하자"는 제안에 대해 설문 응답자 76%는 "후보자의 도덕성과 정책 능력 모두 공개 검증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도덕성 검증은 비공개로 하고, 정책 능력 검증은 공개하자"는 응답은 19%였다.
인사청문회 투트랙 제안은 지난해 말에도 여야가 함께 논의한 바 있으며 문재인 대통령도 최근 4주년 특별연설에서 비슷한 의견을 보였다. 하지만 이런 제안은 정치권과 달리 국민 정서와는 거리가 있는 셈이다.
같은 설문에서 인사청문회에서 후보자를 검증할 때 도덕성과 정책 능력 중 무엇을 더 우선시해야 한다고 보는지 묻는 질문에는 '도덕성'과 '정책 능력'이 각각 47%로 동률을 이뤘다.
그러나 이 질문에서 도덕성보다 능력 검증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답한 사람들만 놓고 봐도 인사청문회 방식에 대해서는 "도덕성까지 공개 검증해야 한다"는 응답이 69%로 훨씬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