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 신용등급이 상승한 기업보다 하락한 기업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신용등급이 하락할 경우, 투자 위험도가 높아져 회사채 발행금리 상승 등으로 자금조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금융당국은 이에 신용등급 하락이 우려되는 기업의 자금 조달을 위해 회사채·기업어음(CP) 지원 한도를 확대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0년 신용평가실적 분석 및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신용등급이 하락한 회사는 총 66곳으로, 등급이 상승한 회사(34곳)보다 32곳이 많았다.
전년 대비 신용등급이 하락한 회사는 12곳(22.2%) 증가한 반면, 상승한 회사는 3곳(-8.1%)이 감소했다. 이에 따라 등급 변동성향은 -2.8%로 전년 대비 0.6%포인트 감소해 하향조정 기조가 이어졌다.
전망도 밝지 않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신용평가사의 ‘등급전망’ 부여 업체는 195곳(안정적 제외)인데 이 중 ‘부정적’ 전망은 155곳으로 집계됐다.
부정적 비율은 전체의 79.5%로 전년(65%) 대비 14.5%포인트 상승해 하락 기조가 강화됐다. 향후 1~2년 안에 등급 변동으로 강등 위기에 처한 기업이 많아졌다는 의미다.
이에 금융당국은 5~6월에 몰린 신용평가 등급 조정에 앞서 7일부터 올해 말까지 한시적으로 코로나19 피해 기업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기로 했다.
우선 금융당국은 신용보증기금의 신용보강을 통해 중견 기업 등의 회사채 발행을 돕는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 프로그램을 손질했다. 매출이 급감했거나 저신용등급 중소기업의 경우, 회사채 발행의 기준이 되는 매출액 한도를 확대했다. 또 신용등급 하락이 우려되는 기업에 대해서는 정책금융기관이 종합컨설팅을 제공하기로 했다.
아울러 코로나19 사태로 타격을 받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가운데 영업 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차주의 신용평가 때 회복 가능성을 충분히 반영하기로 했다. 코로나19로 재무상태가 악화됐지만 현재 정상 영업 중으로 연체·자본잠식 등 부실이 없고, 재무 상태 개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차주가 대상이다. 금융당국은 또 재무 상태 개선 가능성이 낮아 실제 신용평가가 하락했다고 하더라도, 대출한도 축소·금리 인상 등 불이익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신용등급이 일시적 하락하는 차주에 대해서는 향후 회복을 위해서라도 정부의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