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 백신 추가 계약, 실제 공급으로 이어져야

입력
2021.04.26 04:30
27면


정부가 수급 불안 우려를 낳고 있는 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해 화이자 백신 2,000만 명분 추가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 범정부 백신도입 태스크포스(TF)는 24일 관련 계약 사실과 함께 “변이 바이러스 대처를 위한 3차 접종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에 변이 바이러스를 겨냥한 개량제품 도입 문제도 포함됐음을 시사한 셈이다. 이로써 정부가 확보한 백신 물량은 화이자 제품 3,300만 명분을 포함해 9,900만 명분에 이르게 됐다.

9,900만 명분은 우리나라 인구 5,200만 명이 1.9회 접종할 수 있는 물량이다. 또 집단면역 형성을 위한 접종 목표인원 3,600만 명(인구의 70%)의 2.75배에 달하는 물량이다. 물량 자체로는 오는 9월까지 3,600만 명에 대한 2차 접종까지 마쳐 ‘집단면역’을 형성하겠다는 정부 목표 달성이 충분히 가능한 수준이다. 문제는 구체적 공급일정이 제시되지 못한 현실이다.

정부는 이번에도 화이자와의 비밀유지 계약에 따라 공급일정은 밝힐 수 없다고 했다. 화이자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AZ), 얀센 백신과 달리 희귀 혈전증 부작용 우려로부터 벗어나 있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제품이다. 구체적 공급일정은 각국의 치열한 확보 경쟁에 따라 유동적이고, 바로 그 점 때문에 ‘적기 공급’ 여부에 대한 불안감이 여전할 수밖에 없다. 화이자를 포함한 각종 백신의 실제 도입이 속도감 있게 이행돼야 불안감이 해소될 수 있다는 얘기다.

수급 불안뿐만이 아니다. 접종 후 사망자가 증가하고 있는 데 따른 AZ 백신 등의 부작용 우려 해소도 시급하다. 부작용과 사망 간 인과성이 입증되지 않았다는 식의 설명은 아무런 도움이 안 된다. 우선 정부가 부작용 관련 사례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보다 적극적인 치료 및 지원대책을 밝힐 필요가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AZ 백신을 접종받은 것처럼 사회지도층의 솔선수범형 접종도 불안감 해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