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한미 정상회담 백신 공급난 해소 기회로

입력
2021.04.16 04:30
27면

백신 접종을 통한 연내 집단면역 형성을 목표로 한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계획이 해외 백신 안전성 논란에다 각국의 백신 선점 경쟁까지 겹치며 예정대로 진행될 지 우려되고 있다. 국내 접종이 시작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혈전 문제로 30세 미만은 접종에서 제외했다. 비슷한 부작용이 조만간 국내 공급될 얀센 백신에서도 발견돼 미국에서는 일시 접종 중단 상태다. 노바백스 백신은 일러야 6월께 완제품이 나와 2분기 공급이라던 애초 정부 설명보다 공급이 늦춰질 가능성이 생겼다.

하반기 도입된다는 모더나 백신은 미국이 2억 회분을 선점하는 바람에 7월까지 공급받기 어려운 상황이다. 미국이 접종 가능 인구를 넘어서는 6억 회분 확보를 자랑하며 자국 제약사 백신을 우선 차지하는 것만 탓하기도 어렵다. 유럽연합(EU)은 일부 백신의 안전성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4분기 공급 예정인 화이자 백신 일부를 2분기로 당겨 받기로 했다고 한다. 화이자가 증산 여력이 생겼다는데도 지금까지 국내 공급은 160만 회분에 불과하다.

코로나 피로감이 커진 데다 백신 접종까지 시작되면서 방역 긴장감이 급속히 느슨해지고 있다. 하루 700명대 안팎의 확진자 증가세는 궁극적으로 백신 접종을 서두르지 않고서는 헤쳐나가기 어렵다. 거리 두기 강화로 자영업자가 겪을 경제적 어려움과 시민 불편을 생각하면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기존 접종 계획에 차질이 있어서는 안 된다.

정부가 최근 백신 도입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해 모든 역량을 동원할 계획을 밝힌 것도 이런 상황의 심각성을 반영한다. 당장 중요한 것은 해외 제약사와의 협상에 역량을 집중하는 것이다. 외교적 지원도 절실하다. 국내 구매 계약한 백신의 대부분이 미국 제품임을 감안한다면 다음 달 한미 정상회담에서 미국 측에 이에 대한 협조를 구할 필요도 있다. 올 하반기 임상 3상 시험을 목표로 하는 국내 백신 개발도 정부 차원에서 전폭 지원해야 한다. 지금까지의 방역 성과가 백신 조기 접종 실패로 빛이 바래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