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오세훈만 있나?" 이색 공약으로 표심 노리는 군소 후보들

입력
2021.03.30 16:50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 간 2파전으로 진행 중인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다른 10명의 후보들이 개성 넘치는 공약으로 표심을 공략하고 있다. 인지도와 조직력 면에서 거대 양당 후보에 비할 수는 없지만 연애공영제 실시, 무상 생리대 지급 등의 공약을 앞세워 존재감을 띄우는 데 주력하고 있다.

허경영 "청년 연애, 서울시가 책임진다"

가장 눈길을 끄는 이는 1997년 15대 대선과 2007년 17대 대선에 출마했던 허경영 국가혁명당 후보다. 그는 청년대책으로 '연애 공영제'을 내걸고 만 19세 이상 미혼자 150만 명을 대상으로 매달 20만 원(3조6,000억 원)의 연애수당을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이로써 '연애→결혼(주택자금 1억5,000만 원)→출산(1명당 5,000만 원)'의 선순환 구조를 살리겠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부동산과 자동차에 대한 재산세를 폐지하고 당선 시엔 무보수로 일하겠다고 약속했다.


신지혜 “월 80만 원 기본소득 지급”

만 33세로 최연소 후보인 신지혜 기본소득당 후보는 1순위 공약으로 모든 서울시민에게 월 80만 원을 지급하는 '서울형 기본소득'을 내세웠다. 향후 탄소세, 토지세 도입을 통해 기본소득 규모를 최대 300만 원까지 확대하는 게 목표다. 아울러 '성평등 서울'을 위해 △무상 생리대 지급 △서울시 25개 보건소 '미프진(임신중지의약품)' 상시 구비 △여성전문 공공병원 건립 등을 제시했다. 탄소 배출 감소를 위해 연말까지 채식 지원 조례 제정을 추진할 뜻도 밝혔다.

‘양심적 병역거부’ 오태양 “퀴어축제 후원”

오태양 미래당 후보는 '청년 기본소득'을 약속했다. 만 19~34세 모든 청년에게 3년간(시기 선택 가능) 매달 최저생계비 수준의 소득(2020년 기준 월 105만 원)을 지원한다는 내용이다. 연간 1,0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서울시립대를 등록금 없는 '서울시민대학'으로 전환하겠다는 공약도 내걸었다.

국내 최초 '양심적 병역거부자'인 오 후보의 공약은 상당 부분 성소수자에 할애했다. 임기 동안 성별 정체성, 성적 지향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는 서울혐오차별표현 금지 조례 제정과 ‘퀴어문화 축제'를 공식 후원하겠다고 했다.

박원순 반면교사... 성평등 공약 봇물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 비위로 치러지는 보궐선거라는 점을 고려해 '성평등'을 최우선 공약으로 내세운 후보도 있다. 김진아 여성의당 후보는 △서울시장 직속 505(SOS) 콜센터 △자치경찰 내 여성 긴급 출동 전담팀 △디지털 성범죄 종합지원 센터를 설립해 '신고→수사→지원'의 성범죄 대응체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또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분양하는 공공주택의 50%를 여성 가구주(1인 가구 우선)에게 의무 할당하겠다고 했다.

2018년 서울시장 선거에 녹색당 후보로 출마해 4위(1.7%)를 기록한 신지예 무소속 후보도 서울시장 직속 독립기구인 젠더폭력전담기구 설치와 5급 이상 고위직 대상 여성쿼터제 도입을 제시했다.

박준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