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인권 탄압’ 반박하는 중국의 내로남불 3가지

입력
2021.03.31 04:30
14면
유엔-中, 신장지역 현장조사 협의
中 강제노동 부인... 잣대 제멋대로
①‘제한 없는’ 방문 보장 中 부정적
②“유죄 추정 말라” 정치조작 엄포
③면화 생산 ‘기계화’ 비율 널뛰기


“신장의 문은 열려 있다. 언제든지 와서 확인해보라.”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

중국이 자신만만하다. 보복제재와 불매운동으로 서구에 맞서면서 “신장위구르 인권 탄압과 강제노동은 거짓 소문”이라며 반박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주장을 곧이곧대로 믿긴 어려워 보인다. 말을 바꾸고 현장을 감춰 오히려 의혹과 논란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①‘제한 없이’ 방문할 수 있을까


유엔은 인권고등판무관의 신장지역 현지조사를 중국과 협의하고 있다. 조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내건 조건은 ‘제한 없이’ 둘러보는 것이다. 중국의 입맛대로 공개 범위를 정한다면 불신만 가중될 뿐이다. 지난달 세계보건기구(WHO) 전문가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원을 규명하려 우한을 찾았지만 중국의 비협조로 아직까지 뒷말이 무성한 과오를 되풀이할 수도 있다.

중국은 신장지역에 지난 4년간 테러가 없고, 빈곤에서 벗어났다며 발전을 강조하고 있다. 반면 유엔이 주목하는 건 신장의 무대 뒤편이다. 이에 중국은 유럽연합(EU)이 요청한 인권 관련 수감자 면회를 거부하며 벌써부터 단서를 달았다. 환구시보는 30일 “중국 주권에 대한 기본적인 존중이 결여돼 있다”며 “아직도 120년 전에 살고 있는가”라고 되물었다. 서구 열강이 중국 곳곳을 마음대로 침탈하던 때와는 다르다는 것이다. 마오쥔샹(毛俊響) 중국 중난대 인권연구센터 주임은 “무제한으로 신장지역에 접근한다는 건 중국과 유엔의 협력을 약화시키려는 정치 조작”이라고 지적했다.

②中, “유죄 추정 말라” 엄포


중국은 특히 “적대감을 가진 사람은 신장에 갈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인권 탄압을 기정 사실화하는 ‘유죄 추정’에 반기를 든 셈이다. 또한 신장 인권 문제를 “미국의 자작극에 서구가 가세한 것”이라며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국제사회의 합리적 의심은 여전하다. 미국은 최대 100만 명의 위구르족과 소수민족 무슬림이 수용소에 갇혀 강제노동에 시달리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200만 명으로 추정한다. 중국이 명쾌하게 답해야 할 부분이다.

면화뿐만 아니다. ‘인조비단’으로 불리는 합성섬유 비스코스 레이온도 강제노동의 산물이라는 의혹이 제기됐다. 신장을 중심으로 중국에서 전 세계 공급량의 3분의 2를 생산하는 품목이다. 이에 중국에 비스코스 레이온의 원료를 수출하는 주요 회사인 핀란드 스토라엔소는 전날 성명을 내고 “해당 분야 사업에서 손을 뗄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과 엮이기 싫다는 의미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위성사진 분석 결과, 신장의 비스코스 생산 공장들은 강제노동 수용소로 의심받는 시설에서 불과 몇 마일 떨어져 있다”고 전했다.

③면화 생산 ‘기계화’ 비율 널뛰기


중국이 신장지역 강제노동을 부인하며 내세운 근거 중 하나는 기계화 비율이다. 주로 기계를 사용해 면화를 생산하기 때문에 주민을 동원하거나 탄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설명이 오락가락하면서 신빙성이 떨어지고 있다. 화춘잉(華春瑩)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26일 브리핑에서 신장의 목화밭 사진을 보여주며 “40% 이상 기계로 수확하기 때문에 강제노동은 어불성설”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신장 농업부는 “지난해 기준, 현지 재배 목화의 70%를 기계로 땄다”고 강조했다. 불과 나흘 만에 기계화 비율이 두 배 가까이 훌쩍 뛴 셈이다. 신장위구르자치구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EU와 미국, 영국, 캐나다 등 반중 세력이 집단학살과 강제수용 등 악의적 루머로 중국을 비방하는 건 인류 역사상 가장 큰 날조”라며 “서양이 동양을 괴롭히던 시대는 끝났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베이징= 김광수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