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어떤 '신상'보다 특별" 엄마의 명품 물려받는 MZ세대

입력
2021.03.28 18:00
19면

대학생 신현주(24)씨는 4년 전 대학에 입학하면서 어머니에게 특별한 선물을 받았다. 어머니가 25년 전 아르바이트로 모은 돈으로 구입한 첫 명품 ‘버버리(Burberry)’ 코트다. 단아하고 세련된 남색 코트는 소매 끝에 브랜드 특유의 체크무늬가 들어가 있다. 딸이 크면 물려주려고 세탁업체의 장기보관 서비스에 맡겨뒀던 터였다. 신씨는 “요즘 유행하는 디자인은 아니지만 클래식한 멋이 나와 잘 어울려 종종 입는다”라며 “엄마의 이야기가 담겨 있고, 엄마가 젊었을 때를 상상해볼 수 있어서 내겐 특별한 옷이다”라고 말했다.

‘엄마의 옷장’이 열리고 있다. 1980년대 말부터 명품을 소비해온 ‘명품 1세대’가 부모 세대가 되면서 나만의 취향을 좇는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인 자녀에게 명품을 물려주고 있다. 코로나19 여파로 집을 정리하면서 자녀에게 가지고 있던 명품을 주는 경우도 많아졌다. 서울의 한 유명 명품 수선업체 대표는 “지난해 매출이 (전년보다) 20%가량 늘었다”라며 “특히 어머니가 쓰던 가방을 가져와 자기만의 스타일로 바꿔달라고 요청하는 젊은 층이 많다”고 말했다. 명품 가방에 예술 작업을 해주는 프로젝트를 하는 박규리디자인스튜디오의 박규리 대표도 “의뢰받은 건수의 30% 정도가 어머니에게 물려받은 가방”이라고 밝혔다.

국내에 명품 브랜드가 본격적으로 소개된 것은 1980년대 후반 1990년대 초. 1984년 ‘루이비통’이 국내에 처음 진출했고, 이어 에르메스(1985)와 샤넬(1986)이 잇달아 한국에 들어왔다. 당시 20대였던 1970년생 전후가 국내 ‘명품 1세대’로 꼽힌다. 이향은 성신여대 서비스디자인공학과 교수는 “1980년대는 경제성장과 해외 여행 자유화 등의 영향으로 명품에 대해 눈을 뜨기 시작했던 시기”라며 “당시에 명품은 극소수만 소비할 수 있었고, 부를 과시하기 위한 수단이었다”고 말했다.

남에게 과시하려고 명품을 샀던 부모 세대와 달리 명품의 대중화를 경험한 MZ세대는 명품을 사더라도 남과 차별화한 자신만의 취향과 가치를 담고자 한다. 이들에게 명품은 ‘얼마나 비싼가’보다 ‘얼마나 특별한가’로 평가된다. 수년째 식을 줄 모르는 ‘빈티지 패션’ 열풍도 가격보다 가치에 투자하는 MZ세대를 대변한다. 부모의 추억이 스민 명품이야말로 이들에겐 가장 ‘핫’한 패션 아이템인 셈이다. 대표적인 예가 아이돌 블랙핑크의 멤버 제니다. 그는 2018년 파리패션위크에서 어머니의 빈티지 샤넬 티셔츠를 입고 등장해 화제가 됐다.

값비싼 명품을 물려받았다고 해서 특별해지는 건 아니다. 자칫 ‘엄마 가방 들고 나왔니’라는 의심만 사기 쉽다. 자기만의 색을 입혀 취향을 드러내는 게 ‘명품 대물림’의 핵심이다. 손대기조차 조심스러운 명품을 과감히 해체했을 때 오히려 더 멋져 보인다. 실용적인 패션을 추구하는 MZ세대는 명품을 집에 모셔두는 게 아니라 자신을 보여주는 도구로 활용한다.

최근 입사 선물로 어머니가 첫 결혼기념일에 아버지로부터 받은 샤넬 가방을 물려받은 김모(26)씨는 가방에 아끼는 브로치와 단추를 달고, 끈을 교체해 자기만의 스타일로 탈바꿈시켰다. 김씨는 “비싼 가방을 들어 명품에 열광하는 사람으로 비치는 게 싫다”라며 “가방을 들었을 때 뭔가 특별한 취향이 있어 보이는 사람이고 싶다”고 말했다. 요즘에는 자신을 키워준 어머니에 대한 존경의 뜻을 드러내기 위해 가방에 글귀를 써넣거나, 가방을 해체해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바꾸기도 한다. 박규리 대표는 “요즘에는 명품이 예전만큼 희소성이 있거나 특별한 게 아니다”라며 “명품 가방이라도 자기만의 스토리나 감성을 드러낼 수 있는 게 진정한 명품으로 여겨진다”고 말했다.

이향은 교수는 “MZ세대가 소비하고자 하는 것은 명품 브랜드가 아니라 그 브랜드의 역사, 가치, 스토리이기 때문에 부모 세대가 썼던 가방은 자신만의 취향과 가치를 좇으려는 MZ세대들에게 충분히 매력적인 아이템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강지원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