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석 경북도의원이 군위 군청에 도정협력실을 열겠다는 의지를 꺾지 않고 있다. 군수가 수감된 상황에서 평소 군수와 함께 통합신공항 관련 업무 등 손발을 맞추었던 본인이 군청에 들어가 산적한 과제를 효율적으로 처리해 나가겠다는 논리다. 도의원 업무까지 내팽개치고 지역구를 위해 두 팔 걷고 나서겠다는 열정에 박수를 보내는 이들도 있으나, 문제는 시점이다. 선거를 코앞에 두고 있다. 그런만큼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는 이들이 적지 않다.
박 도의원이 군위 군청에 입성하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것들이 한둘이 아니다. 일단 경북도의회다. "시군 예산으로 도정협력실을 지원해줄 근거도 명분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동료들이 썩 반기지 않는 행보인 셈이다. "방향이 잘못되었다"고 지적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경남도청도 2019년 초에 도정협력실 성격의 시군협력실을 연다고 천명했지만 장소가 군청이나 시가 아니라 도청이었다. 시나 군에서 업무차 도청으로 올라온 공무원들의 업무 편의를 돕겠다는 취지였다. 군위의 경우 대구 통합 문제 등이 시급하다면 대구시청에 협력실을 마련하는 게 더 온당해 보인다.
박창석 의원은 이런저런 파열음에도 줄곧 지역 발전을 위한 충정을 이해해달라는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한 마디로 진심을 알아달라는 이야기다. 이는 목적만 순수하면 규범과 절차는 무시해도 된다는 생각이 읽힌다. 전형적인 혁명군의 논리다. 파격은 언뜻 이상의 승리처럼 느껴지지만 늘 혼란과 전횡을 낳았다. 이를테면, 최소한 형식도 필요 없을 만큼 선하고 순수한 사람을 일컬어 "법 없이도 살 사람"이라고 말하나, 정작 역사에서 법 없이 살았던 사람은 대부분 독재자들이었다. 게다가 박 도의원은 목적마저 순수해 보이지 않는다. 그가 군수직에 도전한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출마를 추궁하는 기자의 질문에 "그럼 (군수 선거에) 나가지 말란 말입니까?"하고 항변하기도 했고, 여러 언론에서 그의 도전을 기정사실화했다.
상식과 보편에서 벗어나 자기만의 논리와 룰, 혹은 특정 집단의 이해만을 바탕으로 공정을 무너뜨리고 공동체에 해를 입힌 예는 너무도 많다. 김영만 군수와 그의 측근들이 비근한 사례다. 설사 박 도의원이 군수 출마의 뜻이 없다고 하더라도 군위가 다시 한번 무정부 상태를 겪지 않으려면 규범과 상식의 파괴를 용인해서는 안 된다. 군민들의 위신이 달린 문제다. 군위에서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김영만 한 명으로 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