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기술기업을 제재한 미국에 맞서 중국이 반격이 나섰다. 중국 정부가 자국 공무원들에게 미국 전기차기업 테슬라 차량 사용을 전격적으로 금지했다. 차량을 통해 수집된 정보가 미국으로 유출돼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이유다.
19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최근 중국 정부는 군대와 정부기관, 항공우주기업 같은 주요 국영기업에 직원들이 테슬라 차량을 타고 출근하지 않도록 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일부 민감한 산업시설과 국가기관의 경우에는 직원의 가족들에게까지 테슬라 차량 사용이 금지됐다.
한 소식통은 “중국 정부가 테슬라에 탑재된 카메라가 기록한 이미지, 차량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사용됐는지에 관한 정보, 자동차와 동기화된 휴대폰 통화 목록 같은 다양한 정보가 미국으로 보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테슬라 차량엔 서라운드 카메라 8대, 초음파 센서 12개, 자율주행 시스템용 레이더 등이 탑재돼 있다.
이번 조치는 미중 갈등이 점점 더 격렬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라 주목된다. WSJ는 “중국과 미국 간 기술 전쟁 심화로 시진핑 국가주석이 해외 기술을 경계하고 있다”며 “이번 조치는 미국이 화웨이를 비롯한 중국 기술기업의 통신 장비 사용을 전면 제한한 것에 대한 맞대응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화웨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가 벌인 미중 무역전쟁 와중에 미국의 고강도 제재 대상이 된 대표적 기업으로, 최근 조 바이든 행정부도 화웨이에 부품을 공급하는 업체들에게 신규 제한 조치를 내렸다. WSJ는 “미국이 화웨이 장비 사용 금지 조치를 동맹국에게까지 요구한 반면, 중국은 테슬라 차량 사용을 전면 금지한 게 아니라 일부 공무원에게만 금지하는 제한적 조치를 했다”고 평했다.
양국 사이에 낀 테슬라는 난처해졌다. 테슬라에게 중국 시장은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테슬라가 지난해 전 세계로 수출한 차량 50만대 중 상당수가 중국에서 판매됐다. 중국자동차협회에 따르면 테슬라의 모델3 차량은 중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전기차로, 지난해에만 13만8,000대 이상 팔렸다. 중국에서 판매된 전체 전기차의 8분의 1에 달한다.
테슬라는 상하이에 전기차 조립공장을 짓는 등 중국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는 20일 베이징에서 화상으로 열리는 연례국제경제모임 ‘중국발전포럼’에도 참석한다. 하지만 WSJ는 “최근 들어 테슬라 차량의 품질 문제 때문에 관계자가 당국에 소환되는 등 테슬라가 중국 정부의 규제 대상이 되고 있다”며 앞날이 밝지만은 않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