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만 대도시’ 서울의 위상이 32년 만에 무너졌다. 저출산 여파로 인구가 늘지 않은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까지 겹치며 외국인이 급감한 탓이다.
서울시는 관내 내국인 주민등록인구와 외국인등록인구를 더한 총 인구가 지난해 말 기준 991만1,088명으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내국인은 966만8,465명, 외국인은 24만2,623명이다.
한국전쟁 직후인 1953년 101만명에 불과했던 서울 인구는 급격한 산업화, 도시화로 1988년 처음으로 인구 1,000만명을 넘겼다. 그러나 1992년 정점(1,097만명)을 찍은 뒤 계속 감소세다. 2016년 내국인 기준 1,000만명이 붕괴된 후 4년 만에 내국인과 외국인을 합친 전체 인구에서도 1,000만명을 밑돌게 됐다.
인구 감소는 외국인 이탈이 주도했다. 지난 1년간 서울의 내국인 인구는 0.62% 줄어든 반면, 외국인 인구는 13.93%(3만9,253명)나 급감했다. 그 중 대다수가 중국 국적자(3만2,070명)였다. 4세 이하 인구가 전년대비 10.26% 줄어드는 등 저출산도 인구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85~89세 인구는 11.42%나 증가하며 뚜렷한 고령화 경향을 보였다. 전체 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 비율을 나타내는 고령화율(15.8%)은 전년보다 1.0%포인트 증가했고, 노년부양비 역시 같은 기간 1.5명 늘어 21.4명을 기록했다. 노년부양비는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65세 이상 노년 인구수다.
연령별 인구는 25∼29세가 85만8,648명으로 가장 많았다. 45∼49세가 81만9,052명, 50∼54세가 80만7,718명으로 뒤를 이었다. 자치구별 인구수는 송파구(67만4,000명), 강서구(58만6000명), 강남구(54만4000명) 순이었다. 인구가 가장 적은 자치구는 중구(13만5,000명)였다.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인구가 증가한 자치구는 강동구와 영등포구에 불과했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인구 수 감소가 가져 올 사회 변화를 지속적으로 살펴 관련 정책을 마련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