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에서 가장 긴 강인 중국의 창장(長江ㆍ양쯔강)이 말라가고 있다. 원인의 80%가 기후변화라는 분석이다.
1일 홍콩 일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교육부 산하 중점지리정보연구소의 녜닝과 동료들이 학술지 ‘물 과학의 진보’(Advances in Water Science) 최신호에 발표한 창장의 수위 변화 연구 논문의 내용을 소개했다.
논문에 따르면, 창장의 수위는 1980년대 이후 약 5년마다 2㎝씩 내려갔다. 저자들이 지상 관측소들의 측정 자료와 인공위성 사진 등을 토대로 도출한 결과다.
왜일까. 지금껏 가장 먼저 지목된 요인은 난개발이었다. 창장 생태계에 영향을 끼친 대표적 개발 사례로 거론되는 건 세계 최대 수력 발전소인 싼샤(三峽)댐의 건설이다. 창장 주변 호수 약 1,000개가 주변 산업 활동 확대 탓에 사라졌다고 한다.
하지만 최대 원인은 따로 있다는 게 저자들의 주장이다. 바로 기후변화다. 저자들은 태평양 일부 수역의 기온 상승 같은 비정상적 기후변화가 창장의 수위 변동에 80%가량 기여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우선 두드러지는 수위 하락의 악영향은 갈수록 잦아지는 유역의 홍수와 가뭄이다. 기온이 따뜻해지면서 강에 담긴 물의 양이 갑자기 큰 폭으로 늘거나 줄어드는 경우가 많아졌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물론 그뿐 아니다. 중국과학원 산하 우한 수생생물연구소 연구원 셰즈차이는 SCMP에 “(강물이 마르면) 오염 물질의 농도가 증가할 수 있고, (오염에) 더 취약한 (생물) 종들을 중독시킬 수 있다”며 “지금 당장은 창장 물이 부족하지 않지만 그 영향은 긴 시간에 걸쳐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대륙 중앙부를 관통하는 창장은 아마존강(7,062㎞)과 나일강(6,690㎞)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길다. 6,300㎞에 달한다. 티베트 고원에서 발원해 쓰촨성 청두와 충칭, 후베이성 우한 등을 지난 뒤 장쑤성 난징, 상하이까지 19개 성시를 두루 거친다. 창장 주변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만 4억6,000만명에 이른다. 창장 유역 지역의 국내총생산(GDP)은 중국 전체 GDP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