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 해상풍력단지, 12만개 일자리 창출 세계 최대 규모

입력
2021.02.15 04:30
15면
[이슈, 단체장에게 듣는다] 김영록 전남지사
내후년 기후변화총회 유치 위해 경남과 협력
"이런 대학 하나쯤은" 한전공대 특별법 건의
지방소멸 막기 위해 특별법 제정도 공 들여



인구 185만의 전남은 17개 광역 시·도 중 경북과 함께 소멸이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곳이다. 2019년 기준 지역 합계출산율은 1.23명으로 세종시(1.47명)에 이어 전국 2위를 기록했지만, 청년층이 서울과 수도권 등지의 대도시로 떠나고 있기 때문이다. 충청권 카이스트와 영남권 포항공대처럼 ‘똘똘한’ 이공계 고등교육기관도 없고, 내세울 만한 기업도 없는 현실에서, 바다 하늘 바람 등 천혜의 자연만으로 장성한 젊은이들을 붙잡기엔 역부족이다.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에너지공과대학(한전공대) 설립 및 해상풍력발전 단지 조성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는 김영록 전남지사를 지난 9일 도청 접견실에서 만났다. 신안 해상풍력단지는 완공시 현존 세계 최대단지(영국 혼시ㆍHorn sea)의 7배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다음은 일문일답.

-지난 5일 해상풍력단지 조성을 위한 협약식에 문재인 대통령이 다녀갔다.

“기업들이 48조원을 투입하기로 한 투자 협약식으로 문 대통령의 지역균형 뉴딜 투어 1호 행사였다. 국가의 미래를 위해서도 그만큼 중요한 사업이라는 뜻이다. 신안 해상풍력이 `2050년 탄소중립사회`에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단지가 본격 가동에 들어가면 신형 원전 6기가 일으키는 전력량(약 8.2 GW)을 생산하게 된다. 현재 영국의 세계 최대 풍력단지 생산량은 1.12GW인데, 이보다 훨씬 큰 규모다.”

-풍력단지 조성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가.

"유지보수에 발전기 하나에 12명이 투입된다. 풍력발전기 1,000개면 그 유지보수 인력만 1만2,000명이다. 12만개의 직간접 일자리, 450개 기업이 유치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안·영암 등은 설비 제조단지가 들어서 제조산업 중심지가 되고, 지역 주민이 협동조합으로 수익을 공유하는 해상풍력 연금을 받게 된다. 2030년이면 경제파급효과와 부가가치 유발 등 100조원이 넘은 효과가 난다. 전남이 한국을 해상풍력 강국으로 밀어 올릴 것이다.”


-경남도와 국제대회 공동 유치에도 나섰다.

“2023년 11월 개최될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8)는 의미 있는 국제행사다. 내년 27차 총회에서 개최지가 결정된다. 유엔 총회를 제외하면 가장 큰 세계적인 행사다. 일개 지자체가 나서 유치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김경수 경남지사와 함께 공동 유치 건의를 했고, 서울시와 경기도가 여수를 지지하고 있다.”

-환경부가 국내 다른 지역에도 공모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 때문에 제주, 인천, 경기 고양시 등이 나섰다. COP28은 2012년 여수선언의 배경인 남해안 남중권에서 개최돼야 한다. 2009년부터 여수 시민사회가 COP 유치에 나섰다. 정부도 균형발전을 위해 정책적 판단을 해줘야 한다. 전남에선 순천 광양 고흥 구례, 경남에선 진주 사천 하동 남해 산청이 같이 움직이고 있다. 다른 국제 행사와 달리 여수가 개최도시로 선정되더라도 다양한 행사를 남중권 도시에서 분산 개최할 수 있다. 동서화합·국가균형발전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COP28은 대륙별 순회 개최 원칙에 따라 개최되며, 2023년 말에는 아시아ㆍ태평양권에서 열린다. 각종 회의와 행사에는 유럽연합과 교황청 등 198개 국가 및 국제기구에서 2만5,000명이 찾는다.

-균형발전 차원에서 한전공대 신설도 추진하고 있지만, 물리적으로 (예정됐던) 내년 3월 개교는 어려워 보인다.

“특별법이 필요한 이유다. 4차 산업혁명에 걸맞은 혁신 선도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국가적으로도 한전공대 신설은 꼭 필요하다. 이달 초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여야 의원들에게 신설 필요성과 시급성을 설명하고 특별법 제정을 건의했다. 민주당이 170여석을 갖고 있으므로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

-인구감소, 학령인구 감소로 신입생 모집에 지방대가 애를 먹고 있다. 여당뿐만 아니라 호남권 대학도 한전공대 신설을 반대하고 있다.

“(균형발전을 위해) 카이스트나 포항공대처럼 전남에도 이름(경쟁력) 있는 대학 하나는 있어야 한다. 미래 먹거리가 에너지 신산업인데 기존 대학으로는 융복합 인재 양성에 어려움이 있다.”

-졸업생들의 한전 입사 또는 전남 출신 학생들의 특례입학 우려도 있다.

“기우다. 한전 입사는 지역인재 채용 비율은 30% 이하이고, 한전공대 신입생 특례입학은 없다. 오히려 전남이 4,000억원을 한전공대에 투자하게 되는데 지역 학생이 몇 명이나 들어갈 수 있을지 걱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추진하는 것은 지역에 이런 대학 하나는 있어야 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합계출산율은 전국 평균(0.92명)보다 높은 1.23명인데, 소멸이 가속화하고 있다.

“수도권 집중 현상에 따른 결과다. 국가 차원의 의제로 확대해서 새로운 균형발전정책이 나오지 않으면 현 추세를 꺾기 힘들다. ‘지방소멸 지역 특별법’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민주당도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움직이고 있다. 모두 시간이 오래 걸릴 것으로 보여, 선언적인 법이라도 먼저 만들자고 이야기하고 있다. 해상 풍력발전 단지를 중심으로 한 ‘블루이코노미’ 전략도 한전공대 신설도, 결국 지방 소멸을 지연시키고 막기 위한 노력이다.”

무안= 박경우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