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는 소설가의 일을, 정치인은 정치인의 일을

입력
2021.02.09 04:30
21면
김홍 '이인제의 나라'

편집자주

단편소설은 한국 문학의 최전선입니다. 하지만 책으로 묶여나오기 전까지 널리 읽히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한국일보는 '이 단편소설 아시나요?(이단아)' 코너를 통해 매주 한 편씩, 흥미로운 단편소설을 소개해드립니다.


이인제라는 정치인이 있(었)다. 1948년 충남 논산에서 출생,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유신 반대운동에 뛰어들었다가 판사로 임용됐다. 이후 변호사로 활동하며 노동 문제에 투신했다가 1988년 38세의 나이로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돼 정치인으로서의 행보를 시작한다. 최연소 노동부 장관, 초대 민선 경기도지사, 6선 의원, 역대 최다 대권 도전 등 화려한 정치 경력을 자랑한다.

끊임없이 당적을 바꿔가며 총선, 지방선거, 대선에 계속해서 도전하는 모습으로 ‘피닉제’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불사조를 뜻하는 ‘피닉스’와 이인제를 합쳐 만든 별명이다. 오늘날 정치 지형에서 실질적으로 끼치는 영향은 거의 없지만, 특유의 철새 이미지로 인해 지금도 심심찮게 정치 밈(meme)으로 활용되곤 한다.

에픽 2호에 발표된 김홍의 단편 ‘이인제의 나라’는, 바로 이 정치인 이인제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소설이다. “자고 일어났더니 세상이 갑자기 이인제의 나라가 되었다”는 내용의 소설 ‘이인제의 나라’를 쓰는 과정을 다루는 일종의 메타 픽션(meta-fiction)이다.

소설 속에서 ‘이인제’라는 이름이 최소 100번쯤 호명되지만, 진짜 이인제가 등장하는 일은 없다. 대신 최강헤어의 이인제 사장님, 이인제와 음성학적으로 유사한 사람들이 가입하는 이인제회, ‘이인제 대망론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제목의 기획기사를 연재 중인 기자 등이 등장할 뿐이다. 이인제라는 정치인에 작심하고 비판의 날을 세우는 것도, 그렇다고 상세하게 그의 일대기를 읊는 것도 아니다. 심지어 정치인 이인제를 만나지도, 소설 ‘이인제의 나라’를 완성하지도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설에서 ‘이인제’는 메타포로서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그게 가능한 이유는 독자인 우리가 이인제라는 실존 인물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어느 당에서도 점령군처럼 굴지 않았고 지역구의 폭군이었던 적도 없는” 이인제는 소설 속 각종 상황에 대한 적절한 비유로 활용된다. 작가는 이인제라는 한 물 간 정치인을 하나의 신선한 소설적 비유로 탈바꿈시킨다.

말문을 막히게 하는 농담, 허를 찌르는 비유, 진짜와 가짜를 분간할 수 없게 만드는 허구적 상상력은 이처럼 소설가의 몫이어야 한다. 정치인은 다만 그 비유의 소재면 충분하다. 그러나 때로 소설가의 일을 탐내는 정치인도 있는 모양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의 북한 원전 건설 추진 보고서 파일명의 ‘v’ 표기가 VIP(대통령의 약어)라는 황당한 주장을 펼친 오세훈 서울시장 예비후보가 그 예다.

모두가 v가 version의 약어임을 의심 없이 받아들일 때, 그것을 VIP로 해석하는 전복적 상상력, 이에 대해 대통령에게 해명까지 요구하는 대범함, 이 한바탕 해프닝으로 전 국민에게 (비)웃음을 사는 일은, 작가나 할 일이지 정치인이 할 일은 아니다. 문학의 일은 우리가 알아서 할 테니 정치인은 부디 민생을 돌보는 본인 직무에 대한 고민이나 거듭해주시길, 문학 독자로서 부탁 드린다.

한소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