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한 미국을 상대로 이란이 제재 해제를 본격 요구하고 나섰다. 특히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가 처음 전면에 등장했다.
7일(현지시간) AF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란 최고지도자 하메네이는 이날 이란 혁명 42주년을 앞두고 공군 지휘관들을 대상으로 한 연설에서 “만일 미국이 이란의 핵 합의 의무 복귀를 원한다면 제재를 완전히 해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그는 미국이 “말이나 문서뿐 아니라” 행동으로 제재 해제 조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뿐만 아니다. 이날 자기 트위터에도 “이란은 2015년 핵 합의에 따른 의무를 모두 이행했지만 미국과 3개 유럽국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고 썼다. 제재 해제 요구의 정당성을 주장한 것이다.
하메네이의 이날 대미 논평은 이란과의 핵 합의 복원 의지를 피력한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한 뒤 처음 나온 것이라고 AP통신은 전했다.
대미 제재 해제 압박에는 이란 외무장관도 가세했다.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장관은 자국 일간 함샤리와의 인터뷰에서 제재가 2월 21일까지 완화되지 않으면 이란 정부의 핵 입장이 완강해질 거라고 밝혔다. 이란 의회는 지난해 12월 제재 완화 시한을 2개월 뒤로 정한 법안을 처리한 바 있다.
자리프 장관은 6월에 치러지는 자국 대통령 선거에서 강경 노선을 따르는 인물이 당선될 경우 문제가 더 악화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그는 “미국이 시간을 지체하면 더 많은 것을 잃게 될 것”이라며 “(협상) 테이블에 오기 전에 표를 찾아야 하는 건 미국”이라고 단속했다.
‘이란 핵 합의’(JCPOAㆍ포괄적 공동행동계획)는 버락 오마바 정부 시절인 2015년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 등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에 독일까지 6개국이 이란과 체결한 협정이다. 이란이 핵 개발을 포기하는 대가로 6개국이 이란에 대한 경제 제재를 해제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합의를 깨뜨린 건 도널드 트럼프 전 미 대통령이다. 핵 프로그램과 관련해 이란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며 2018년 5월 일방적으로 핵 합의 탈퇴를 선언하고 대이란 제재를 복원했다. 그러자 이란도 합의 이행 범위를 축소하는 단계적 조치를 취했고, 합의가 폐기될 위기에 놓였다.
바이든 정부의 목표는 핵 합의 복원이다. 다만 이란의 의무 이행 재개를 전제 조건으로 달았다. 아직 구체적 계획 언급도 없는 상태다. 하지만 협상 재개가 멀지 않은 듯한 분위기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5일 영국ㆍ프랑스ㆍ독일 외무장관과 핵 합의에 대해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