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 노숙인 3명 소재 파악 안돼” 노숙인 감염확산 비상

입력
2021.01.29 17:17
서울시 노숙인 확진자 계속 증가

서울 노숙인 복지시설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이 갈수록 확산하고 있어 비상이 걸렸다. 설상가상으로 확진 판정을 받아 병원과 격리치료시설로 이송돼야 하는 노숙인 3명은 소재 파악이 안돼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서울시는 중구 노숙인 복지시설 관련 확진자가 지난 28일 하루 동안 14명 추가돼 누적 34명으로 늘어났다고 29일 밝혔다.

신규 확진자 14명은 모두 노숙인이다. 이 시설 관련 확진자는 26일 7명, 27일 9명에 이어 계속 늘어나고 있다. 현재까지 검사 받은 296명 중 116명(최초 확진자 제외 양성 34명, 음성 82명)을 제외한 나머지 180명은 결과가 나오지 않아 확진자는 더 늘어날 수 있다. 밀접 접촉자로 파악된 70여명은 서울시가 임시 격리시설로 이송해 관리 중이다.

특히 노숙인 확진자 중 3명은 병원과 격리시설로 입소해야 하지만, 현재 소재가 파악되지 않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1명은 기초 역학조사와 병상 배정도 마친 뒤 사라져 경찰이 찾고 있고, 나머지 2명은 기초 역학조사도 이뤄지지 않았다”며 “입원ㆍ입소하면 평시처럼 자유로운 활동이 어려우니까 이를 거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또, 주거가 일정치 않은 노숙인들의 역학조사에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부분 휴대전화와 신용카드를 보유하고 있지 않아 객관적으로 동선과 밀접 접촉자를 파악하기 어려워서다.

서울시 관계자는 “질병관리청의 도움을 받아 노숙인 확진자가 병원에 입원하면 대면 인터뷰를 통한 심층 역학조사로 동선과 밀접 접촉자를 파악할 예정”이라며 “확진자를 어느 곳으로 보낼지, 밀접 접촉자를 어떻게 격리할지 등의 협조도 받기 위해 정부와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서울역 일대 노숙인과 쪽방 주민들이 검사 받을 수 있도록 ‘서울역 임시선별진료소’를 활용하는 한편 30일까지 이틀 동안 동자동 새꿈어린이공원에 ‘찾아가는 선별진료소’를 추가 운영하기로 했다.

서울역 노숙인 시설과 별개로 27일부터 운영한 노숙인 상대 찾아가는 선별진료소에서는 총 722명이 검사를 받아 3명 양성, 601명 음성으로 결과가 나왔다.

박민식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