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팔 이식법 개정 후  처음 뇌사자 팔 이식 성공

입력
2021.01.21 15:36
세브란스병원, 2018년 법 허용 이래 첫 팔 이식

손과 팔 이식이 2018년부터 법적으로 허용된 뒤 처음으로 작업 도중 사고로 오른팔이 절단된 남성의 팔 이식 수술이 성공했다.

홍정원(성형외과)ㆍ최윤락(정형외과)ㆍ주동진(이식외과) 세브란스병원 장기이식센터 수부이식팀은 뇌사 기증자 팔을 업무 중 오른팔을 다친 남성에게 이식하는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이식 수술을 받은 최모(62)씨는 2년 전 오른쪽 팔꿈치 아랫 부분이 절단되는 사고를 당했다. 몇 개월 뒤 최씨는 세브란스병원 성형외과를 찾아 의수 치료 등을 받았지만 활동에 제한이 있어 팔을 이식 받길 원했다.

국내서 손ㆍ팔 이식이 법적으로 허용된 것은 2018년 8월이다. 절단된 뒤 최소 6개월이 지나야 이식을 받을 수 있다.

심장ㆍ간ㆍ콩팥ㆍ폐 등 생명 유지에 필요한 장기를 기증하기로 한 뇌사자가 발생해야 손·팔을 기증받을 수 있다. 세브란스병원 장기이식센터는 최씨의 일상생활 제약 등 평가를 거쳐 보건복지부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에 장기이식 대기자로 등록했다.

이식 가능하다는 소식이 들린 것은 이달 초이다. 심장이 멈춘 뒤 뇌가 회복하지 못할 상태로 망가져 뇌사 판정을 받은 뇌사자의 가족이 세브란스병원 장기이식센터에 장기 및 조직을 기증키로 했다.


손·팔 이식은 뼈와 근육, 힘줄, 동맥, 정맥, 신경, 피부를 접합하는 고난도 수술이다. 혈액형이나 교차반응 등 이식에 필요한 면역검사는 물론 팔의 크기나 피부색, 연부조직 상태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대상자를 구하기 힘들다.

수술은 지난 9일 오후 1시 30분부터 17시간에 걸쳐 진행됐다. 최씨는 손목 바로 위 부분이 절단된 상태였다. 의료진은 수술 후 빠른 회복을 위해 남아 있는 근육의 기능을 최대한 살려 수술을 진행했다.

수술은 성공적이었다. 면역 거부 반응이나 다른 부작용 없이 건강한 상태로 재활치료를 시작할 예정이다.

홍정원 교수는 “환자의 팔 기능이 유지되는 조직을 최대한 보호하면서 이식 거부감을 줄이는 동시에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술 계획을 세웠다”고 했다.

이번 수술은 성형외과팀과 정형외과팀의 협업으로 진행됐다. 2015년 마크 리퍼트 전 주한 미국대사 피습 사건 당시에 손발을 맞췄던 팀이다. 홍 교수팀이 최 씨의 아래팔 절단부에서 피부를 들어올리고 이식 팔의 혈관을 연결할 동맥과 정맥을 찾아 준비했다. 이후 최윤락 정형외과 교수팀이 뼈와 힘줄, 근육, 신경을 박리했다. 그 사이 수술과 마취시간을 줄이기 위해 성형외과팀은 기증된 팔의 혈관과 신경 박리에 들어갔다.

이어 최씨에게 이식하는 수술이 이뤄졌다. 정형외과팀은 정상 팔과의 길이를 맞추기 위해 미리 계측한 길이에 맞춰 뼈를 고정하고 손 등쪽 힘줄을 봉합했다.

최윤락 교수는 “이식된 팔이 정상인 팔과 되도록 길이가 같아야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며 “힘줄과 신경은 손의 정상적인 기능 회복을 위해 무엇보다 주의해야 한다”고 했다.

성형외과팀은 팔에 혈류가 통하게 바로 혈관 일부를 연결했다. 혈류가 잘 통하는 것을 확인한 뒤 정형외과와 성형외과팀이 교대로 남은 힘줄과 신경, 혈관들을 연결했다. 마지막으로 혈류가 잘 가는 피부 상태를 평가하면서 피부를 봉합했다.

홍 교수는 “수술 후 이식받은 팔에 피가 잘 통해야 이식한 팔의 정상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며 “수술 중에도 수 차례 확인을 거듭했다”고 했다.

수부이식팀은 최씨의 이식수술을 위해 2018년 12월부터 수부이식을 준비했다. 홍종원 교수는 세브란스병원 수술간호팀과 연세대 의대 수술해부교육센터와 협력해 수부이식팀을 구성했다. 장기이식센터 코디네이터팀, 마취통증의학과 김혜진 교수, 수술간호팀, 수술해부교육센터 등 많은 부서가 팔 이식수술이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2018년 국내 처음 수부 이식을 시행한 대구 W병원도 큰 도움이 됐다. 최 교수는 “손의 운동 기능과 감각 기능을 최대한 살려 밥을 먹고 씻고 옷을 입고 문손잡이를 돌릴 수 있는 등의 일상생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수술의 최종 목표”라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