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화된 여성장애인 고용 ... 국가성평등 점수 까먹었다

입력
2021.01.21 15:30


2019년 국가성평등지수와 지역성평등지수가 살짝 올랐다. 상승폭 둔화가 뚜렷한 건 여성 장애인 채용이 부진해서인 것으로 드러났다.

여성가족부는 2019년 국가성평등지수가 73.6점으로 전년 73.1점 대비 0.5점 상승하는 데 그쳤다고 21일 밝혔다. 지역성평등지수는 0.7점 오른 76.4점이었다.

성평등지수는 △성평등한 사회참여 △여성 인권·복지 △성평등 의식·문화 등 3개 영역, 경제활동·복지·가족 등 8개 분야로 구성해 25개 지표가 측정되며 성비가 완전 평등해야 100점이다.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지면서 국가성평등지수, 지역성평등지수는 매년 올랐다. 구체적으로 국가지수는 △0.9점(15~16년) △0.8점(16~17년) △0.9점(17~18년)씩, 매년 1점 가까이씩 올랐고, 지역지수 역시 △0.5점(15~16년) △1.8점(16~17년) △1.3점(17~18년)씩 1점 이상 큰 폭으로 올랐다. 하지만 2019년에는 상승폭이 0.5점, 0.7점에 그쳐 전년도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25개 지표 중 하락이 두드러지는 것은 장애인 고용률 성비다. 전년(48.5점) 대비 4점이나 떨어져 44.5점에 그쳤다. 여성 장애인이 고용시장에서 받는 차별이 심화된 것이다. 점수가 가장 낮은 분야는 국회의원 성비로 전년 대비 0.5점 하락한 19.4점을 기록했다. '의사결정 분야'도 전년도에 비해 1.9점이나 올랐다지만 여전히 38.1점에 그쳤다. 의사결정 분야는 정부위원회 위촉직 성비와 4급 이상 공무원 성비 등을 따진다.

반면, 남성 육아휴직자 증가로 육아휴직 성비 지표가 개선되면서 가족 분야가 전년(61.2점) 대비 1.6점 상승한 62.8점을 기록했다. 사회안전에 대한 전반적 안전 의식 지표가 개선된 안전 분야는 66.7점으로 1.8점 상승했다.

2019년 지역성평등지수는 전년도 중하위였던 광주가 상위 지역으로 크게 상승하는 등 광주·대전·부산·제주가 상위 지역 등급을 받았다. 반면 대구와 서울은 상위에서 중상위 지역으로 하락했다.

정영애 여가부 장관은 “의사결정, 안전 등을 포함한 모든 분야의 성평등 수준을 한 단계 더 높일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해 실효성 있는 정책들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며 “변화된 사회상을 반영하고 정책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국가성평등지수 개편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박소영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