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로 1년간 금지돼 온 공매도 재개 시한이 두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논란이 뜨겁다.
과열된 증시를 식혀야 한다는 공매도 재개 찬성론과 3,000선에 안착한 주가를 끌어내릴 것이라는 반대론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투자자들은 물론 최근 금융당국과 정치권까지 이 논란에 각을 세우고 있다.
전문가들도 공매도가 재개될 경우 기업 밸류에이션(내재가치)에 비해 주가가 비싼 종목들은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다만 과거 공매도 금지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단기 조정을 거친다 해도 유동성을 발판 삼아 주가가 반등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과거에도 금융당국은 공매도를 한시적으로 금지한 적이 있다. 2008년 10월 글로벌 금융위기, 2011년 8월 유로존 재정위기 때다. 결론부터 보면 두 차례 모두 공매도 재개 후 지수는 반등했다.
2008년 '리먼브라더스' 사태로 시작된 금융위기로 코스피가 연초 대비 20% 이상 폭락하자 당국은 그해 10월 공매도를 8개월간 금지했다. 공매도가 금지된 이후에도 주가는 하락했고 한때 1,000선을 밑돌았다.
하지만 공매도 재개 시점인 이듬해 6월 코스피는 금지 직전 수준을 회복하더니, 세계 경기회복 기대감이 커지던 그해 연말 저점(2008년 10월 938.75)대비 80% 가까이 오른 1,600선까지 치솟았다.
2011년 8월 유럽발 재정위기 당시엔 석 달간 공매도가 금지됐다. 공매도 금지 기간 코스피는 약 100포인트 상승하며 무난히 위기를 견디나 싶었다. 하지만 공매도 재개 첫날 이탈리아 디폴트(채무 불이행) 우려가 세계 증시를 타격하면서 코스피는 이날 하루 5%나 급락한 1,800선까지 밀렸다. 다만 세계 각국 중앙은행이 경기 부양을 위해 돈 풀기에 나서면서 코스피도 반등해 이듬해 3월 2,000선에 안착했다.
이런 과거 사례와 상관없이 개인들은 당국의 공매도 재개 방침에 연일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지난해 동학개미들이 힘겹게 끌어올린 주가에 공매도가 찬물을 끼얹을 것이란 게 개인 투자자들의 우려다. 정의정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 대표는 "지난 1년간 억눌려온 공매도 매도물량이 폭발하면서 주가 하락은 불 보듯 뻔하다"며 "주가가 최악의 경우 2,200선까지도 밀릴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공매도 재개 이후에도 코스피가 조정을 거친 뒤 반등한 전력이 있는 만큼, 오는 3월 공매도가 부활해도 중장기적으로 지수를 크게 끌어내리진 않을 것이라고 업계는 보고 있다. 물론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 대비 주가가 높은 종목을 중심으로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커질 수는 있다. 코스피가 새해 들어 단기간에 3,100선까지 치고 올라온 만큼 '고평가' 인식이 공매도 전략을 부추길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오태동 NH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현재 증시 대기 자금인 투자자예탁금이 70조원을 웃도는 상황에서 공매도 재개만으로 지수가 크게 밀리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주가가 3,150선까지 올라온 상황에서 대형주보다는 가치 대비 주가가 높은 중·소형주의 가격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윤지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도 "주가란 가치와 괴리를 좁혀가면서 가야 하는 만큼, 기업 순익 대비 현재 주가가 비싼 종목들을 중심으로 하방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공매도 재개 자체보다는 대외적 환경에 따라 지수가 움직일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2011년 11월 공매도 재개 첫날 코스피가 급락한 것도 이탈리아 디폴트 쇼크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오 센터장은 "오는 3월 미국 등 선진국 증시가 조정을 겪거나 물가지표가 급등하면 시장은 충분히 흔들릴 수 있다"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