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17일까지 유행 규모 줄여야 방역조치 완화 가능"

입력
2021.01.10 16:50


방역당국이 오는 17일까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규모가 줄어야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등의 방역 조치를 지금보다 완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10일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 브리핑에서 “3차 유행이 정점을 통과해 감소하는 추세”라며 17일까지 최대한 유행 규모를 줄여야 조심스럽게 방역 조치를 완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달 3일부터 9일까지 지난 한주간 하루 평균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773명으로, 직전 주의 955명보다 감소했다. 감염재생산지수도 1 미만(0.88)으로 내려갔다. 방역당국은 그러나 확진자 감소 추세가 아직은 초기인 데다 감소 속도도 완만하기 때문에 안심할 상황은 아니라고 진단했다.

이에 정부는 약속이나 모임, 여행 같은 개인 간 접촉을 줄이는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감염 경로를 보면 지난 11월 중순 60%였던 다중이용시설의 집단감염 비중이 지난주 30% 수준까지 줄어든 반면, 확진자 접촉에 따른 감염 비중은 같은 기간 20%대에서 40%로 크게 올라갔다. 개인 간 접촉이 확진자 증가를 주도하고 있다는 의미다.

손 반장은 “특히 2월부터는 예방접종과 치료제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방역 대응이 가능해진다는 점에서 지금이 무척 중요한 시기”라며 “앞으로 한주간만 모든 모임과 약속을 취소하고 사람 간 접촉을 최소화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그는 "현재의 유행이 계속 안정화된다면 17일 이후에는 집합금지 업종에 대해 제한적인 방역수칙 하에서 영업 자체는 가능한 방향으로 검토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방역당국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현 2.5단계에서 2단계로 낮추려면 하루 평균 신규 환자 수가 400~500명 이하라는 기준을 중요하게 고려하겠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부는 5인 이상 사적 모임 취소를 권고하는 등의 연말연시 특별방역 조치를 17일까지 연장한 바 있다.

임소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