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국민경선" 野 '미끼'에도 안철수 "입당 없다"

입력
2021.01.06 19:40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야권 후보 단일화 주도권을 두고 국민의힘과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간 '밀당'이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국민의힘은 6일 내부 경선에서 100% 여론조사만으로 서울ㆍ부산시장 보선 후보를 선출하겠다고 했다. 사실상 안 대표에게 손을 내민 것이지만, 안 대표 측은 “(야권 후보 단일화를) 국민의힘이 주도해선 안 된다”고 거리를 뒀다.

국민의힘은 이날 4· 7 보선 당내 경선룰을 바꾸면서 외부인사들에게 사실상 문호를 여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본경선에서 당초 당원 투표 20%, 시민 여론조사 80%로 최종 후보를 뽑겠다는 방침을 세웠지만, 당원 투표를 없애고 100% 시민 여론조사를 진행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주요 정당이 당내 경선에서 당원들의 의사를 묻지 않고 후보를 결정하는 건 상당히 이례적이다. 때문에 당 안팎에서는 이런 결정이 안 대표와 금태섭 전 의원 등 외부인사에 대한 영입 가능성을 열어놓기 위한 포석이라는 얘기가 나왔다. 정진석 공천관리위원장은 이날 통화에서 "(100%여론조사 경선이) 국민들의 단일화 요구에 부응하는 자세”라고 강조했다. 야권 후보 단일화 메시지를 먼저 던진 안 대표에게 경선룰 변경을 통해 다시 공을 넘긴 것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실제 정 위원장은 "국민의힘을 플랫폼으로 한 범야권통합경선이 무리한 요구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우리가 100% 여론조사 경선을 할지라도 외부인사가 참여하려면 우리 당원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안 대표 측은 국민의힘 주도의 야권 단일화에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국민의당 핵심 관계자는 이날 “단일화를 위해 중요한 건 경선룰이 아니라 플랫폼을 어디에 세우느냐”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을 벗어난 외부에 플랫폼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국민의힘과 안 대표 측 기싸움이 이어지면서 야권의 서울시장 후보 단일화 작업은 3월까지 미뤄질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이날 “우리 후보를 2월 말까지는 확정 짓고, 만약 단일화를 한다면 3월초에 가서 협상을 시작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안 대표 측 역시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나경원 전 의원 등 국민의힘 유력 주자들의 출마 여부가 결정된 뒤에나 야권 단일화 플렛폼 논의가 시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현빈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