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연기된 국산 로켓 누리호 발사… 달 탐사는 언제?

입력
2020.12.29 21:10
18면
한국형 발사체 내년 2월 1차·10월 2차 발사에서
1차 21년 10월·2차 22년 5월로 7,8개월씩 연기
"추력 핵심인 1단 로켓 조립 지연이 큰 요인"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대충 넘어갈 수 없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온라인 브리핑을 통해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발사 시기를 당초 1차 2021년 2월, 2차 10월에서 1차는 2021년 10월로, 2차는 2022년 5월로 7, 8개월씩 미룬다고 밝혔다. 발사계획 변경안은 전문가의 점검 결과를 기반으로 국가 우주개발 주요 사항을 심의하는 국가우주위원회에서 의결됐다.

독자 기술로 개발 중인 누리호는 1.5톤급 위성을 지구 저궤도(600~800㎞ 상공)에 쏘아 올릴 수 있는 3단형 발사체다. 장기 로드맵은 누리호 성공으로 확보한 한국형 발사체 기술에 달 착륙선을 실어 올려보내는 것이다. 2009년 발사한 2단형 로켓 나로호는 핵심인 1단을 러시아가 제작했다.

누리호 발사 연기는 이번이 두 번째다. 2013년 박근혜 정부 당시 달 착륙선 발사 시점을 2020년으로 무리하게 당겼던 계획을 2018년에 현실화하면서 누리호 1·2차 발사 시점을 내년 2월과 10월로 14, 16개월씩 한 차례 연기한 바 있고, 이번에 다시 미뤄졌다.

1~3단으로 이뤄져 있는 누리호의 1단부 개발 상황이 일정 연기의 큰 원인이다. 강력한 추력(밀어 올리는 힘)을 내야 하는 1단부는 75톤 엔진 총 4기를 묶는 '클러스터링'이 필요하다.

로켓의 제한된 공간에 엔진과 추진제 공급에 필요한 1,000여개 배관의 최적 배치를 찾는 과정에서 해체와 재조립이 반복됐다. 엔진 4기를 지지하는 '후방동체'에서 파손이 발생하는 등 핵심 부품 신뢰성이 떨어져 설계를 변경하고 다시 제작하는 과정도 거쳐야 했다.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본부장은 "조립 복잡성으로 추가 작업 시간이 필요하지만, 일단 셋업(최적 배치)을 하면 그 이후는 반복작업이라 이 단계에서의 추가 지연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1단부 개발에 이어 종합연소시험을 마치면 전기체(1,2,3단 조립이 완료된 발사체)와 발사대 간 검증 등을 거쳐 실제 발사 작업에 착수하게 된다.

현재 우리 정부의 달 착륙선 발사 예정 시점은 2030년이다. 지금 누리호 성능으로는 불가능하고 누리호 후속 개량작업을 거쳐야 한다. 이 후속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 결과가 내년에 나오면 그에 맞춰 후속사업에 돌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 정책관은 "일정 지연이란 죄송한 말씀을 드리게 됐지만 많은 연구진이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행착오를 거치며 노력해왔다"며 "추진현황 정기 공유, 위험요소 발생 시 즉시 보고 의무화 등 정부도 표준화된 일정관리 체계로 발사체, 달 탐사 등 일정 지연이 최소화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맹하경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