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되는 죽음 속에서 더 생생하게 살아나는 아버지

입력
2020.12.26 04:30
19면
<18>넷플릭스 '딕 존슨이 죽었습니다'

편집자주

극장 대신 집에서 즐길 수 있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OTT) 작품을 김봉석 문화평론가와 윤이나 칼럼니스트가 번갈아가며 소개합니다. 매주 토요일 <한국일보>에 연재됩니다.



어느 날 아빠가 말했다. “영정 사진을 찍어야겠어.” 나는 정확하게 들었지만, 잘못 들었다고 믿고 싶었기 때문에 이 말이 아빠의 소원인 가족사진 촬영을 계속 미루고 있는 것에 대한 항의라고 내 마음대로 바꾸어 생각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부모님과 나, 그리고 결혼한 오빠의 가족까지 일곱 식구가 가족사진을 찍었고 아빠는 이때다 싶었는지 온 가족 앞에서 다시 말했다. 아무래도 한 살이라도 젊을 때 영정 사진을 찍어야겠다고 말이다. ‘한 살이라도 젊을 때’ 해야 하는 일에 여행, 새로운 운동이나 언어 배우기, 마음껏 놀기 말고 다른 무엇이 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해본 적이 없는 나는, 다시 한번 아빠의 말을 못 들은 척 했다. 영정사진이라는 단어는 죽음의 이미지와 붙어있으므로, 연상만으로도 불경한 일이라도 저지른 것만 같은 느낌이 들었다. 때때로 “앞으로 내가 살면 얼마나 살겠냐”고 말하는 아빠를 볼 때면, 무슨 불길한 주문이라도 들은 것 같아 귀를 틀어막고 싶었다.

아마도 그리 머지않은 미래에 당연히 닥쳐올 일이지만, 생각조차 하고 싶지 않은 일, 부모의 죽음. ‘딕 존슨이 죽었습니다’는 제목에서부터 그 일과 정면으로 마주 보는 작품이다. 다큐멘터리 감독인 딸 커스틴 존슨은 아버지 딕 존슨이 알츠하이머로 인한 치매 증상을 보이기 시작하자, 시애틀에서 뉴욕으로 모셔와 돌보기로 하면서 그 과정을 다큐멘터리로 기록하기로 한다. 이미 앞서 어머니를 같은 병으로 잃은 바 있는 딸은, 홈 비디오와 같은 성격의 이 기록에 장치를 하나 심어 둔다. 아버지의 일상과 함께 아버지가 참여하는 영화를 찍는 과정을 함께 담는 것이다.


딕 존슨의 기꺼운 동의를 얻어 촬영을 시작한 이 영화의 내용은 실로 얄궂다. 영화 속에서 딕 존슨은 예측할 수 있고 또 없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죽고, 또 죽는다. 걷고 있는 그의 머리 위로 에어컨 실외기가 떨어지고, 계단에서 실족하고, 자동차에 치인다. 그가 반복해서 죽는 영화와 이 영화를 찍는 과정에 대한 메이킹 필름, 그리고 알츠하이머 치매가 찾아와 조금씩 죽어가고 있는 그의 일상이 겹쳐지고, 그 최종 결과물이 우리가 보고 있는 다큐멘터리 ‘딕 존슨이 죽었습니다’가 된다.

딸은 왜 여전히 살아있는 아버지의 죽음을 영화로 만든 것일까? 이 실험이 의미하는 바는 과연 무엇일까? 그건 바로 인간의 고유한 능력인 상상력이며, 영화는 그것을 구현하는 도구다. 딸은 아버지의 죽음이라는 최악의 상상을 끊임없이 반복하며 죽음을 연습한다. 여전히 살아있으나 죽음을 반복하는 이 아이러니는, 이사를 하기에 앞서 생활의 터전이었던 시애틀에서 살아있음에도 미리 장례식을 치르는 것으로 정점을 찍는다.

이 연습이 실제로 다가올 죽음을 감당하는 데 어떤 도움이 되었는지, 도움이 되긴 하는지 우리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적어도 보는 사람들은 죽음에 대해서 말하는 것이 곧 삶에 대해 말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반복되는 죽음 속에서 더 생생하게 살아나는 존재는, 진중하면서도 유머가 넘치고, 따뜻하며, 딸을 사랑하는 아버지이다. 심지어 그가 기억을 잃어가고 있다는 비극적인 현실의 일 속에서도 그렇다. 그래서 장난스럽지만 어떤 면에서는 지독해 보이기까지 하는 이 실험은, 결국 아버지를 영원히 살게 하는 일이기도 하다.


이 작품은 진지하고 엄숙하게 죽음을 말하거나 슬픔 속에 예정된 작별을 준비하는 일에 힘을 쏟는 대신, 살아있음을 축하하고 함께하는 매일의 일상을 소중히 여기는 일상을 담는다. 딕 존슨의 손주들은 할아버지의 여든 여섯 번 째 생일을 기념해 할아버지가 사랑하는 초콜릿 퍼지 케이크를 만드는 장면도 그 일상의 일부다. 딕 존슨이 주방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을 구경하러 와 깜짝 선물이 들키자, 손자는 잠시 실망했다가 다시 씩씩하게 말한다. “할아버지는 어차피 잊어버리니까 괜찮아!” 그 순간 내 안의 한국인이 잠시 튀어나와 화면을 향해 ‘어디 어른에게 버릇없이!’라고 호통을 칠뻔 했지만, 온 가족이 해맑게 웃으며 케이크를 나누어 먹는 장면이 이어지자 손주가 할아버지의 아픔을 건드린 것이 아닌가 하는 나의 염려는 초콜릿처럼 녹아 사라졌다. 잊어버리기 때문에 좋은 일도 있다. 죽음의 반대편에도 그런 일이 있을 것이다. 이게 바로 아이들이 세상과 할아버지의 병을 받아들이는 방식이다. 그리고 이 작품이 예정된 상실과 죽음을 받아들이는 방식이기도 하다. 좋은 부분을 보면서, 가능하다면 더 많은 웃음으로.

그래서 이 작품의 장르는 비극의 드라마가 아닌 코미디이다. 아내에 이어 알츠하이머 치매에 걸려 죽어가는 한 남자의 이야기는 오직 비극이기만 한가? 소중한 기억과 이름이 하나씩 지워지는 와중에도 언제나 따뜻하게 사랑의 마음을 전하고 유머를 잃지 않는 아버지와, 그를 잃어가는 고통과 맞서면서 흔들리는 카메라를 쥐고 있는 딸에게 물으면 절대 그렇지 않다고 대답할 것이다. 인생은 오히려 희극에 가깝다. 나는 삶과 죽음이라는 예술의 고유한 주제를 가진 이 작품이 코미디이고, 코미디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 마음에 든다.


하지만 이 작품이 현실의 일을 담은 다큐멘터리이기 때문에, 압도적인 현실의 슬픔 앞에서 웃음은 속절없이 눈물로 변해버리곤 한다. 가짜 장례식에서 추도사를 읽은 뒤 슬픔에 잠겨 오열하는 딕 존슨의 친구를 볼 때, 우리는 이 영화가 반복하는 죽음 연습이 누군가에게는 강렬하고 현실적인 고통을 주기도 한다는 걸 눈치챌 수 있다. 커스틴 존슨은 이런 상황을 예상했을까? 예상했든, 하지 않았든 삶이 각본대로 흘러가지만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 이건 오직 다큐멘터리만이 하는 일이다. ‘딕 존슨이 죽었습니다’는 이 모순과 복잡함을 보여주는 일 역시 포기하지 않음으로써, 다큐멘터리가 해야 하는 일 또한 해낸다.

글의 서두에서, 나는 죽음에 대해 말하는 일이 언제나 불길하고 때로는 불경하다고까지 느끼곤 한다고 썼다. 하지만 이 작품을 통해, 죽음에 대해 말하는 일이야말로 죽음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마주 보는 일이라는 걸 알게 됐다. 그 누구도 죽음과 맞설 수는 없지만, 더 나은 이별을 준비할 수는 있다.

우리가 결국 서로를 잃게 되리라는 자명한 현실이 존재한다고 해서, 그 순간이 두려워 오늘을 살지 않을 이유는 없다. 사랑하면 서로를 잃는 것도 감당해야 한다는 말속에는, 잃는 것이 두려워서 사랑하지 않을 수는 없다는 삶의 진실이 함께 담겨있다. 반복된 죽음의 실험이 언젠가 실험이 아닌 날이 오더라도, 아빠와 딸이 가짜 장례식을 지켜보며 웃었던 기억은 사라지지 않는다. 기억 속에서만 사라지지 않는 것이 아니라, 영상으로 남아있다. 어쩌면 이게 바로 이 영화가 다큐멘터리로서 훌륭하고 독특한 성취를 보여주는 동시에, 부모가 아이의 성장을 담는 홈 비디오와 같은 따뜻하고 순수한 사랑의 분위기를 품고 있는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공교롭게도 이 작품을 본 날, 코로나19로 인한 미국의 사망자 수가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나고 있다는 기사도 함께 보았다. 전염병의 특성상 죽음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 급히 처리되어 버리기 때문에 미국인들이 상황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고, 압도적인 숫자가 오히려 개별의 죽음을 지우고 있다는 것이다.

이 작품은 지금이라는 시절과 만나, 사회 곳곳에서 계속되고 있는 상실에 대처하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로써도 의미를 갖게 되었다. 예기치 않은 일이 우리의 삶에 닥쳐올 때, 예정된 죽음이 우리를 기다릴 때, 우리는 무엇을 상상할 수 있을까. 그리고 우리는 어떤 이야기를 가족과 함께 나눌 수 있을까. 이 영화를 본 뒤에 나는 아빠에게 영정 사진을 찍는다면 어떻게 찍고 싶은지, 어떤 모습을 애도하는 사람들 앞에 남기고 싶은지를 물어보기로 했다. 이번 거리두기 기간이 지나 가족을 다시 만나면, 우리가 준비해야 하는 일들에 관해서도 이야기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좋은 영화는 많지만, 영화가 끝난 뒤에 질문을 남기고 그 질문에 현실과 이어지게 만드는 영화는 드물다. 그렇기 때문에 며칠 남지 않은 2020년, 넷플릭스에서 단 한 편의 작품을 봐야 한다면 ‘딕 존슨이 죽었습니다’는 정말 좋은 선택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작품의 가장 빛나는 순간에 대해 덧붙이고 싶다. 부녀는 서로를 아끼며 계속 대화를 나눈다. 왜 돈이 되는 상업 영화 대신 다큐멘터리를 찍느냐는 딕 존슨의 질문에 커스틴 존슨은 대답한다. “만들어진 것보다 현실이 더 매력적이잖아요.” 이 작품을 보면 알게 될 것이다. 정말이지 그렇다.

윤이나 칼럼니스트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